두 대선주자 주5일 근무제 異見 李 "시기상조" 盧 "일단 시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노사정위 협상이 결렬된 가운데 한나라당 이회창(會昌)대통령후보는 도입 반대를, 민주당 노무현(武鉉)대통령후보는 도입 찬성을 주장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후보는 23일 중소기협중앙회 정책간담회에 참석, "현 정권이 주5일 근무제를 무리하게 밀어붙여 가뜩이나 어려운 중소기업 인력난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작업장에 대해 법으로 주5일 근무제를 일률적으로 강요하는 정책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후보는 또 "다른 나라에서도 1인당 국민소득이 1만5천달러가 된 이후 주5일 근무제를 실시했다"며 "대통령 공약이라는 이유로 이를 강행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후보는 보도 자료에서 "아직 일부 논란이 있으나 일단 시작해야 한다"며 "다만 경제계, 특히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상당한 유예기간을 두더라도 기업 규모와 업종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후보는 또 "주5일 근무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 가장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는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해 경제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주5일 근무제는 민주·한나라당 양당의 16대 총선 공약이며 노사정이 세번에 걸쳐 약속한 사안인 데다 국민의 74%가 찬성하고 63%가 단계실시를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노사정위 합의가 결렬됨에 따라 단독입법 절차에 들어가 오는 9월 정기국회에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제출,내년 7월 시행할 방침이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