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 따라 출렁거린 노 대통령 지지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청와대 관계자들에게서 대통령의 지지도에 관한 코멘트를 듣기가 쉬워졌다. 자체 여론조사 결과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도가 지난 11월 중순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참모들이 말하는 최악의 시점은 지난 9~10월. 대통령 지지도의 한계선이라고들 하는 30%를 뚫고 내려가 25% 내외로 폭락했다. "10월에는 아예 응답 자체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반대를 지나 무관심, 체념, 포기로 해석될 수 있는 반응이었다"는 것이다.

두 번의 계기가 있었다. 9월 5일 노 대통령이 MBC-TV '시사매거진 2580'에 출연, "독재시대의 낡은 유물은 칼집에 넣어 박물관으로 보내는 게 좋다"며 국가보안법 폐지를 천명한 직후 그나마 30%대를 유지하던 지지도가 추락했다. 추세는 10월 29일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썰물처럼 가속화했다.

반전의 전기는 한.미 정상회담이었다. 11월 20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두 정상이 북핵의 평화적 해결을 재확인하면서 지지도가 오르기 시작했다. 이때 무려 7%포인트 상승했다는 것이 청와대 측의 주장이다. 자이툰부대 전격 방문도 2%포인트쯤 올리는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흥미로운 현상은 그 후 노무현 대통령이 '관용'과 '포용'을 강조할 때마다 조금씩 지지도가 오르는 점이라고 한다. 노 대통령은 12월 13일 민주평통 운영.상임위원회에서 "관용은 상대의 잘못을 용서한다는 단순한 의미가 아니다. 틀림에 대해서도 수용하고 설득하고 포용해 가겠다"고 했다. "어려운 경제를 못 풀어드려서 국민들 보기에 참 죄송하다"고 머리도 숙였다.

다음날의 CBS 창사 기념식에서도 노 대통령은 "(언론이) 설사 내 뜻을 몰라주고 억울하다 싶어도 기꺼이 수용하겠다"고 했다. 28일 청와대 출입기자단과의 송년만찬에서는 "언론과 긴장관계만이 아니고 건강한 협력관계를 맺으면 좋겠다"고 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