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 임진각 537㎞, 졸며 먹으며 하루 100㎞씩 달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11일 오전 6시 부산 태종대에서 ‘철인 중의 철인’에 도전하는 84명의 건각이 힘찬 레이스를 시작했다. 이날 오전 태종대에는 폭우가 내렸다. 이들은 사단법인 대한울트라마라톤연맹(KUMF)이 주최한 ‘2010 대한민국 종단 537㎞ 울트라마라톤’ 참가자들이다.

울트라마라톤은 100㎞ 이상을 뛰며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극한의 마라톤이다. 2000년 KUMF 창립 회원인 조인석(49)씨는 “연맹 회원이 600여 명이다. 한 번이라도 100㎞ 이상의 울트라마라톤을 경험한 사람은 3000명 정도 된다. 이 중 여자가 약 15%”라고 설명했다.

울트라마라톤 매니어 84명이 11일 오전 6시 부산시 태종대를 출발하고 있다. 이들은 앞으로 닷새 7시간 안에 임진각까지 달려가야 한다. [송봉근 기자]

2002년에는 울트라마라톤 국토 종단 코스가 만들어졌다. 이후 짝수해에는 태종대~임진각(537㎞), 홀수해에는 전남 해남~강원도 통일전망대(622㎞)를 달리는 대회가 열린다. 강화도~경포대(308㎞)의 국토 횡단 대회와 함께 ‘3대 울트라마라톤’으로 불린다. 3개 대회를 모두 완주한 사람은 120여 명이다. 100㎞ 대회는 1년에 30여 회 열린다.

김부성(55) KUMF 사무총장은 “이번 대회는 태종대에서 임진각까지 537㎞를 127시간(만 5일 7시간) 내에 달려야 한다. 뛰다가 중간에 잠시 잠을 자든, 하루 종일 쉬지 않고 뛰든 16일 오후 1시까지 골인 지점인 임진각에 도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총장은 3대 울트라마라톤 대회를 완주했다. 그는 “하루에 100㎞를 뛰고 길게는 1~2시간, 짧게는 20~30분 자고 또 뛴다”며 “나는 대회 도중 통틀어 5시간 정도 잤다”고 말했다. 제대로 씻지도 못한다. 4~5일째 되면 노숙자와 비슷해진다. 폭우가 오면 발이 퉁퉁 부어 더 고역이다. 참가자들은 도중에 목욕탕·찜질방·여관 등에는 못 들어간다. 들어가면 탈락이다. 100㎞마다 음료수·수박화채·초코파이 등 간단한 먹을거리가 제공된다. 참가자들은 배낭에 주먹밥이나 떡·초코바 등 기호식품을 챙겨서 메고 뛴다.

안전사고도 주의해야 한다. 교외로 나가면 도로 갓길을 뛰고, 2차선 도로에서는 차량을 마주보고 뛰어야 한다. 밤에 뛸 때는 야광봉을 들고 점멸등 조끼를 입는다. 김 총장은 “300㎞ 넘어가면 포기자가 많이 나온다. 완주자는 총 참가자의 40% 정도”라며 “밤에는 비틀비틀 졸면서 걷기도 한다. 울면서 도중에 택시 타고 서울로 가자는 사람도 있었다”고 말했다.

김대수(51)-곽부선(49)씨는 이번 대회 부부 참가자다. 곽씨는 “2005년부터 남편과 같이 시작했다. 한 번 뛰고 나면 더 먼 거리를 뛰고 싶은 열망이 생긴다”며 “2년 전 제한시간을 40분 넘겨 완주를 인정 못 받았다. 이번에는 꼭 성공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8년간 울트라마라톤을 101번이나 경험한 참가자 이만식(46)씨는 “완주하면 고통 속에 환희를 느낀다. 힘든 것을 달성했을 때의 자기만족, 도전정신으로 계속 뛰게 된다”고 말했다.

글=한용섭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