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일본 측 공식반응 자제 속 파장에 촉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국 정부의 결정에 일본은 일단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일본 정부는 별다른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지 않았다. 일본 언론들도 아직 사실관계를 간단히 언급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이번 한국 정부의 결정이 어떤 여파를 가져올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대일 청구권 협상 과정이 드러나면 일본에 징용된 노동자와 군 징집자들이 한국 정부에 보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또 "일본과 북한의 국교 정상화 협상이 재개될 경우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그동안 일본 정부는 한국 안에서 조약을 다시 맺어야 한다는 여론이 대두될 것을 우려해 신중한 대응을 요구해 왔다"고 전했다. 이날 한국 외교부 당국자가 "일본은 반대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것과 다소 차이가 나는 대목이다.

이에 앞서 지난 16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총리는 주일 한국특파원들과의 인터뷰에서 "(문서 공개 문제는) 한국의 내정문제이므로 이것저것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과거의 문제를 들추게 되면 서로 별로 좋지 않은 기분을 갖게 된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긴 역사를 돌이켜보면 두 나라는 우호와 협력의 관계, 그리고 서로 배우고 좋은 면을 취하면서 발전해 왔다"며 "미래를 지향하는 적극적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