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이세돌의 미스터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제9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4강전
[제8보 (95~110)]
黑. 이세돌 9단 白.구리 7단

중력이 좋은 사람은 가끔 머리가 텅 빈 듯 진공상태에 빠지곤 한다. 이세돌9단은 그 대표적 케이스에 속한다. 그는 무척 예민하고 탁월한 집중력을 보여주는 청년이지만 어느 때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는 듯 방심의 극단을 드러낸다. 그 바람에 약한 상대에게도 손쓸 수 없이 무너지는 경우가 있다.

3번기에서 첫판을 이겼을 때도 이세돌은 그 다음판을 쉽게 망쳐 일찌감치 던지곤 한다. '한판의 여유가 있으니까…' 하는 마음에 집중력이 풀려버린 것이다. 그러니까 집중력은(바둑은 집중력의 게임인데) 이세돌의 강점이자 단점인 셈이다.

95로 몰고 96으로 따냈을 때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97로 평범하게 뛰어버린 것인데 이건 98,100의 이단젖힘이 절호의 수순이어서 아무 낙이 없다.

"싱겁네"하고 조훈현9단이 쓴웃음을 짓고 있다. 그는 아까부터 '참고도' 흑1로 빠지는 한 수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이곳이 백의 명치다. 백은 부득이 4, 6으로 덮어오겠지만 흑도 2선을 박박 기며 버틴다.

"일단 잡으면 크지 않은가. 만만치 않은데…." 조9단의 혼잣말이 계속되고 있다.

진하디 진한 이세돌이 97같이 싱거운 수를 둘 수도 있다는 것은 일종의 미스터리라 할 수 있다. 이창호9단이 중간이라면 이세돌은 양 극단을 동시에 지닌 인물이다. 이게 미스터리에 대한 유일한 해답일까.

109로 살자 구리(古力)7단은 110으로 넉점을 잡아 앓던 이를 뽑아버린다. 선악을 떠나 97의 한 수가 분기점이 됐다. 자욱하던 안개가 걷히고 풍경이 명료해졌다.

박치문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