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아이들'에 관심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가 내년부터 학업 중단 청소년들에 대한 대안교육을 정규 학력으로 인정키로 한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환영할 만한 일이다. 또 이를 계기로 정부와 사회·가정이 우리 공교육에 적응하지 못한 '학교 밖 아이들'에 관심을 갖고 대책 마련에 더욱 힘써주길 바란다.

교육인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퇴하는 중·고생은 매년 6만~7만명에 이른다. 실업고의 경우 중퇴율이 5%에 달할 정도다. 전문가들은 45만명에서 60만명 정도의 학령기 청소년들이 학교 밖에서 떠돌이 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퇴자가 이같이 많은 것은 이들이 학교를 떠나는 이유와 무관치 않다. 과거엔 비행을 저질렀거나 가정 경제 형편이 어려워 어쩔 수 없이 중퇴했으나 요즘엔 적성이나 진로문제·교육내용 등 학교 교육에 대한 불만 때문에 자발적으로 떠나는 사례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학교 교육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상황이다.

학교를 떠난 아이들은 아무리 뚜렷한 주관을 갖고 있다 해도 주류에서 벗어났다는 소외감으로 정서적 방황을 겪을 수밖에 없다. 사회의 시선도 너그럽지 못하고, 이들을 감싸안을 시설도 아직은 빈약하기 짝이 없다. 이 때문에 탈선의 길로 빠지는 아이들도 적지 않다.

대안교육은 중퇴 청소년들에게 소속감을 주면서 지속적이고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꼭 필요하지만 현재 학력 인정을 받는 곳은 14개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민간단체 등에 의해 운영되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번 교육부 대책은 이같은 민간단체 등의 대안 교육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것은 학교를 떠나지 않고도 대안교육이 제공하는 창의적이고 학생 중심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현재 일부 학교에서 운영 중인 학교 내 '대안교실'을 확대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