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후보.유권자정책성향해부> 충북 : 일자리 만들기 지자체 역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현직 지사인 이원종(한나라당)후보와 지역구 국회의원을 지낸 구천서(자민련)후보, 민주당 지구당위원장 출신의 장한량(무소속)후보는 정책 우선순위와 실업 해소를 위한 광역자치단체의 역할 등에서 견해 차이를 드러냈다.

李후보와 具후보는 "실업해소를 위해 자치단체는 예산만 지원하고 일자리 창출은 민간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 李후보는 "지방자치 실시 이후 시·도에서 설립한 무역회사들이 성공하지 못한 것처럼 공무원의 경영마인드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具후보도 "자치단체는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어주는 게 역할"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비해 張후보는 "자치단체가 기업과 합작해 공장을 세워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張후보는 이를 위해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갈리는 청원인터체인지에 3만평 규모의 농산물 직거래시장을 세우겠다는 공약을 내걸고 있다.

충북도가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李후보와 張후보가 모두 경제개발과 복지를 1,2순위로 꼽았다. 양측은 "가뜩이나 좋지 않은 지역경제가 충북은행 퇴출과 하이닉스 회생 지연으로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지적한다. "농민들의 고령화가 가속되고 있어 사회복지관 등 복지시설 확충도 절실하다"고 덧붙인다.

具후보는 실업해소와 경제개발을 내세운다. "올해 초 한국개발연구원(KDI) 조사에서 주민들이 최대 현안으로 인식하고 있고, 특히 청년 실업이 심각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수질개선을 위한 수돗물값 추가부담액으로는 李후보가 1천원, 張후보가 2천원을 각각 제시했다. "수질개선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중소도시와 농어촌의 부담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具후보는 "물관리 정책을 공급관리에서 수요관리 위주로 바꾸면서 원가가 보장되는 적당한 수준으로 조정하겠다"고 말했다.

정치부 기획취재팀=이하경·나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