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진표 자유연대 대표 "80년대 감옥은 386 정치인 학습장"

중앙일보

입력

'뉴라이트(New Right)'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자유주의연대 홍진표 대표가 80년대 감옥을 이른바 '386' 정치인들의 집단 학습장으로 묘사하면서 " 감옥은 운동권들이 이론을 연마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더할 수 없는 좋은 학교가 됐다"고 말해 네티즌들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다.

홍 대표는 24일 자유주의연대 홈페이지 '최신정보'란에 올린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진실-3'이라는 글에서 "많은 사람들은 80년대 민주화운동으로 투옥된 사람들이 0.7평의 차디찬 독방에서 고립된 생활을 하며 고초를 겪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는 통상 과장을 동반하는 소설, 영화의 영향과 군사정권에서 자행된 고문, 폭력을 일반화시키는 경향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홍 대표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 글을 통해 당시 군사정권에 의해 이뤄진 국가폭력에 대해 일반인들이 잘못 알고 있다는 듯한 발언도 쏟아냈다.

그는 "국보법 위반으로 86년 5월에 공범 7 ̄8명과 인천의 구치소에 처음 투옥돼 초기에는 기존시설에 수감되다가 나중엔 신축 사동으로 옮겼는데, 사실상 운동권들의 공동생활이 이뤄졌다"면서 "(당시) 교도소에서는 운동권에 대한 특혜적 처우가 대체로 유지됐다"고 말했다.

또 "기결수가 되어 원주교도소에 갔는데, 거긴 완전히 해방구였다.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각자 방에 들어갈 때까지 함께 모여 운동권 이론을 학습하고 언제라도 테니스, 농구를 즐길 수 있는 집단생활의 자유가 보장되었다"며 "그 결과 감옥은 운동권들이 이론을 연마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더할 수 없는 좋은 학교가 되어버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일선 교도소에서는 갑자기 늘어난 운동권들을 감당하기 어려웠고 단식, 동맥 절단, 목매달기, 세제 마시기 등과 같은 격렬한 자해사태가 벌어지자 운동권들에게 대폭적인 자유를 주면서 타협을 하게 된 것"이라며 "군사정권의 운동권에 대한 미숙한 대응이 운동권의 비약적 성장에 일조한 바가 크다"고 이색적인 주장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네티즌 한영석씨는 "요즘엔 진보운동을 공익이 아닌 사적인 이익을 위해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며 "홍대표의 글은 본질보다 현상에만 집착해 386 운동권을 집단으로 매도했다"고 비판했다.

디지털 뉴스센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