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사랑’ 민간단체 뭉쳤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푸른울릉독도가꾸기회와 독도평화로타리 회원들이 독도 주변을 정화한 뒤 동도 선착장에서 기념사진을 찍었다. [울릉군 제공]

독도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한 울릉도와 포항의 두 민간단체가 힘을 합쳐 독도 지키기와 가꾸기에 나섰다.

두 단체는 국내의 첫 순수 민간 독도단체인 푸른울릉독도가꾸기회(이사장 이창관)와 세계에서 유일하게 독도라는 명칭을 붙인 포항 독도평화로타리클럽(회장 김일성)이다.

이들 단체 회원 80여 명은 3일 독도평화호 편으로 독도에 들어가 푸른울릉독도가꾸기회가 그동안 독도에 심은 나무를 돌보고 독도 주변 해역과 바다 속 등지에서 쓰레기와 오물을 수거하는 등 정화 작업을 펼쳤다. 회원들은 이날 오전 8시30분 울릉도를 출발해 오전 10시30분 독도에 도착해 조류로 밀려 온 쓰레기와 공사 잔존물, 관광객이 버리고 간 쓰레기 등을 청소했다.

특히 이날 포항 독도평화로타리클럽 회원이 처음 참여함에 따라 두 단체가 힘을 합쳐 독도를 정화하는 것은 물론 독도 사수를 다짐하는 결의대회도 열었다.

또 독도경비대에 위문품 전달, 독도를 지키며 가꾸는 경비대원을 위로 격려하고 독도를 지키다 숨져 간 선열을 위한 위령제를 올리는 등 바쁜 일정을 보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김일성 독도평화로타리 회장은 “독도를 가꾸고 지키는 국내 최초의 민간단체인 푸른울릉독도가꾸기회와 함께 독도 사랑에 동참하게 돼 너무나 기쁘고 감개무량하며 무한한 책임감을 함께 느낀다”고 말했다.

울릉도에 본부를 둔 독도 민간단체인 울릉독도가꾸기회와 독도평화로타리클럽은 지난해 8월 자매결연을 하고 독도 사업을 상호 지원키로 합의했다.

푸른울릉독도가꾸기회는 독도가 미군의 비행기 폭격 연습으로 나무들이 죽고 돌섬으로 남게되자 독도가 나무가 자생하는 푸른 섬이라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1973년 정부와 각 사회단체가 독도에 나무를 심기 시작하면서 태동했다.

또 지난해 8월 로타리 가입증서 전달식과 제1대 회장 취임식을 한 ‘국제로타리 3630지구 포항독도로타리클럽’은 지난해 5월 9일 출범한 국내 유일의 독도 로타리클럽이다.

송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