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책 일관성이 부총리 人選원칙" 田실장 입각땐 후임 박지원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진념(陳稔)씨가 경제 부총리직을 사임함에 따라 개각 요인이 발생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병원에서 퇴원한 14일 전윤철(田允喆)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기호(起浩)전 청와대 경제수석을 놓고 밤 늦게까지 저울질을 했다.

金대통령은 퇴원 하루 전인 13일 밤에도 田실장을 병실로 불러 "후임 부총리는 경제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인선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준에 따라 검토를 계속한 끝에 막판에 두 사람으로 압축됐다. 현 정부에서 공정거래위원장·기획예산처 장관을 거쳐 청와대에 진입한 田실장과 노동부 장관을 지내고 2년8개월 간 최장수 청와대 수석으로 金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던 전수석이 그들이다.

그러나 田실장은 청와대에 들어온 지 석달도 채 안된 데다 그를 중심으로 청와대 비서실이 가까스로 안정을 찾아가고 있어 다시 빼기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전수석은 '이용호 게이트'의 보물발굴 사업과 관련, 특별검사의 조사를 받았으나 '혐의없음'으로 종결된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대통령의 두 아들에 대한 비리연루 의혹이 핵심 정치쟁점이 된 마당에 전수석의 등장이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모른다는 점이 고민거리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田실장이 부총리로 발탁될 경우 후임 청와대 비서실장엔 박지원(朴智元)정책특보가 기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朴특보에 대한 정치권과 여론의 비판이 어느 정도 수위가 될지가 변수였다. 사실 金대통령은 朴특보를 비서실장으로 일찌감치 점찍어 놓고 어떻게 모양새 있게 처리하느냐를 놓고 고민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