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경보 체계화 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황사 관측을 시작한 지 40년 만에 최악이었던 지난달 22일보다 더 심한 황사가 내습해 8일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처음으로 황사 경보가 내려졌다. 이번 황사는 올들어 네번째, 발생일로는 9일째다.

빈발·대형화하는 황사에 정부는 기상 예보와 사후 먼지 측정 등 초보적인 대응 외에 손을 쓰지 못하다가 황사 피해 최소화를 위해 이번에 황사 경보제를 도입했다. 그러나 충분한 준비와 홍보 없이 경보제를 도입한 탓에 체계적인 전파와 대응 조치가 안돼 국민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6일 시·도 담당자 회의에서 황사 경보제 시행 방안을 전달했으나 관련 기관이나 일반 국민에겐 경보 발령 기준·오염 단계별 행동 요령 등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다. 이 바람에 이날 많은 지역에 오염 단계가 가장 심한 '중대 경보'가 발령됐는데도 초등학교 휴교 문제 등 대응 초치가 효과적으로 이뤄지지 못했다. 중대 경보일 때의 행동 요령은 유치원·초등학교의 실외 할동을 금지하고 수업 단축·휴업 등 학생 보호 조치를 강구토록 권고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미세 먼지 오염도가 ㎥당 1천42㎍에 달한 8일 오전 1시 중대 경보를 발령한 뒤 오전 2시55분 팩스로 서울시교육청에 통보했다. 오전 4시엔 먼지 오염도가 평소의 30배인 ㎥당 2천70㎍까지 올라갔다. 그러나 교육청은 휴교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다 오전 10시가 넘어서야 "학교장 재량으로 오후 단축 수업을 한다"고 정했다. 이 때문에 각 초등학교엔 휴교 여부를 묻는 전화가 빗발쳤다.

황사 경보 전파 방식도 언론기관 통보 외에 허술하기 짝이 없다. 국민 건강과 관련된 중대 재해인 만큼 지상파 방송이나 동사무소·아파트 방송망을 활용하고 학교의 비상 연락망을 가동하는 등 적극적인 전파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 근본적으로는 황사가 내습한 뒤 발령하는 뒷북치기식 경보를 개선해 미리 황사의 규모와 미세 먼지 오염도·지역을 예보하는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