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장 후보 議總서 선출 黨운영비 사용내역 공개 : 한나라 쇄신안 내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의 당 쇄신안은 당총재의 기득권 포기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인사·재정·의사결정권을 국회의원과 당원에게 넘겨준 것이다.

◇최고회의 합의제·의총 권한 강화=우선 총재직을 없애고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한 뒤 최고위원회의의 의사결정을 합의제(의결 때는 재적 과반수 찬성)로 했다. 최고위원 간 호선으로 결정되는 대표 최고위원은 회의 사회권 이상의 권한을 행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 최고위원회의와 별도로 의원총회에 막강한 권한을 위임했다. 의원총회는 국회의장 및 부의장 후보뿐 아니라 국회의 상임위원장 후보를 선출한다. 이럴 경우 계보 간 '나눠 먹기'가 어려워진다. 특히 의총에서 주요 법안과 현안을 심의·의결토록 했다. 의원총회는 사실상 최고 의결기구가 될 전망이다. 대부분의 '당론'이 여기에서 정해진다.

◇비례대표 결정 2원화=지방선거·국회의원 선거 등 공직 선거 공천자를 각 지구당이 1천명당 1명의 비율로 선거인단을 구성, 자유 경선으로 정하도록 했다.

지구당 선거인단 규모는 최저 1백50명에서 최고 3백50여명이 될 전망이다. 중앙당은 이같은 경선 결과에 명백한 문제가 있을 때만 최고위원회의와 당무회의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비례대표 의원은 별도 선출위를 구성해 공천자 명단을 정한 뒤 순번은 공천심사위와 당무회의에서 확정하도록 심의·결정을 2원화했다.

◇대선 후보 권한=대선 후보가 대표 최고위원이나 최고위원을 겸할 수 없도록 했다. 대신 후보에게 선거일까지 당무 전반에 관한 우선권을 주고, 선거대책 기구의 구성·운영 및 재정에 관한 권한을 부여했다. 대선 후보가 지명하는 선거대책위원장도 당무를 '통할·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박근혜 의원 복당권유"=돈의 출납을 공개토록 했다. 그동안 정당들은 국고 보조금과 당 후원회를 통해 조달된 운영비의 사용 내역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다.

한나라당의 경우 박근혜(朴槿惠)의원은 탈당하기 전 "당의 자금은 총재의 주머니 돈이 아닌 만큼 사용 내역을 밝혀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박관용(朴寬用)당특위위원장은 "이로써 朴의원의 요구사항이 모두 받아들여졌다"며 "朴의원에게 복당을 권유하고, 경선 출마를 원할 경우 후보등록도 연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