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도시계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세수(稅收)차이에 따른 지자체간 개발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가 두드러졌다.

수도권 지자체들은 인구 집중으로 가중되는 교통·주택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마구잡이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은 일부 도시를 제외하고는 '인구 감소→세수 감소'로 인한 재원 부족으로 적극적인 개발에 나서지 못하는 형편이다. 상당수 지자체들은 세수 증대를 위해 러브호텔·유흥주점 등을 무분별하게 허가,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주고 도시환경을 해치고 있다.

<표 참조>

따라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후보들마다 환경보전과 개발이 조화를 이루는 공약을 제시하는데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균형개발 시급=지난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1년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국내 인구의 47%가 수도권에 살고 있다. 수도권 면적은 국토의 11.8%에 불과하나 제조업체의 55%, 대학의 42%가 몰려 있다.

우리의 수도권 과밀화 정도는 일본 도쿄(東京)도의 1.5배, 런던·파리권의 2배 수준이다.

인구의 수도권 편중은 주택 수요를 증가시켜 1990년 이후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등 5대 신도시를 건설하는 원인이 됐다. 그러나 이들 신도시는 비수도권 인구의 유입을 초래, 또다른 주택난을 발생시키고 판교와 같은 새로운 위성 신도시를 건설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교통난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도 만만찮다. 서울시의 경우 올 예산(11조6천억원)의 25%선인 3조원이 지하철 건설·도로 확충 등 교통혼잡 완화 비용으로 쓰인다.

이같은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자체 간의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

수도권은 과거 인구 집중을 유발했던 신도시나 신시가지 조성 등 개발 위주의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 개발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를 엄격히 실시해야 한다.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권용우 대표는 "앞으로 개발사업을 수립할 때 환경도 지켜나간다는 능동적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수도권 지자체들은 수도권 기능의 이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충북대 황희연 교수(도시공학)는 "지자체들은 공공기관이나 기업이 지방이전을 꺼리는 요인들을 찾아내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黃교수는 그 사례로 ▶열악한 도시기반시설▶배후주거단지와 생활편익시설 미비▶교육·의료시설 부족 등을 꼽았다.

◇건전한 도시환경 조성=러브호텔·단란주점 등의 유흥업소가 주거지역 인근에 들어서는 것은 보편화된 현상이다. 이들 업소는 유흥시설이 들어설 수 없는 학교환경위생 정화구역에까지 침투하고 있다.

청소년보호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현재 전국적으로 73만6천여곳의 청소년 유해업소가 영업 중이다.

이처럼 청소년 유해환경은 갈수록 확산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출입을 통제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 유흥업소의 무분별한 난립과 불법 영업을 효율적으로 규제해 청소년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미흡하다.

중앙대 류중석 교수(도시공학)는 "건전한 교육환경과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주변 유해시설에 대한 엄격한 단속과 법집행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지자체별로 청소년 유해시설이 밀집된 곳을 도시계획법상의 위락지구로 지정하고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환경악화를 방지해야 한다. '청소년 조례'를 제정해 종합적인 청소년 건전환경 육성방안을 수립·시행하는 것도 시급하다.

협성대 이재준 교수(건축도시공학)는 "장기적으로는 청소년들이 여가를 건전하게 보낼 수 있는 수련원·놀이공간 등의 시설을 확충하고 이런 시설들을 분산배치해 주민들이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리=이한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