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억 들인 내부순환로 첨단교통시스템 설치 하나마나… 체증 그대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26일 오후 7시 서울 내부순환로 북부구간 성산대교 방면. 진출 램프마다 빠져나가기를 기다리는 차량들이 꼬리를 물고 있다.

정체가 가장 심한 서대문구 홍은동 홍은진출램프는 3㎞ 떨어진 홍지문터널 입구까지 밀려 있다. 길음·월곡 등 다른 램프 부근에도 차량이 1~2㎞씩 줄지어 있다.

1999년 2월 개통한 내부순환로가 극심한 정체에 시달리자 서울시가 지난 2년 동안 1백94억원을 들여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을 설치, 지난 6일부터 운영에 들어갔으나 소통 개선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인터넷·ARS전화·전광판 등을 통해 차량 이동량과 속도 등 각종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청계~사근(시속 12.2㎞)·홍은~홍지문터널(시속 17.7㎞)등 상습 정체구간은 여전히 출퇴근 시간 평균 속도가 20㎞에도 못미친다. 하루 평균 주행속도도 1월 7~11일 시속 67㎞에서 지난주(3월 18~22일)엔 60㎞로 오히려 떨어졌다.

이는 진출입 램프 18개 대부분이 차량이 밀리는 간선도로 교차로와 곧바로 연결돼 있는 데다 연결도로와의 신호체계가 엇갈리는 등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어 단순한 교통정보 제공만으론 정체를 막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초 내부순환로와 이어지는 북부간선도로가 개통되면서 사정이 더욱 나빠졌다. 성산대교 방향의 경우 북부간선도로와 길음·정릉램프를 통해 시간당 최고 5천4백여대의 차량이 내부순환로로 쏟아지지만 이들 차량이 나갈 수 있는 곳은 월곡진출램프에서 7.5㎞나 떨어진 홍은진출램프(시간당 1천2백대 수용 규모)가 고작이다.

인터넷이나 전광판 등을 통해 운전자들에게 제공되는 교통정보에도 오류가 많다.

정희원(鄭熙元·30·서울 은평구 불광동)씨는 "전광판에 6분이 걸린다던 홍지문터널~홍은램프 구간을 지나는데 그 두배인 12분 이상이 걸렸다. 엉터리 안내 때문에 더욱 화가 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4월 말 이후 홍은·길음·월곡 등 주요 램프 아홉곳에 신호등을 설치, 수용 가능용량을 초과할 경우 차량 진입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김대호(金大鎬)교통운영개선기획단장은 "정체가 가장 심한 홍은진출램프 부근의 유진상가 일대를 일방통행으로 만들고 성산·연희 등 주요 진출입램프의 신호체계를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교통관리센터 한 관계자는 "신호등형 진입제어시스템은 98년 올림픽대로 동작대교~반포대교 중간지점과 청담IC 등 두 곳에 설치한 적이 있으나 운전자들 대부분이 신호를 지키지 않아 실패했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녹색교통운동 민만기(閔萬基)사무처장은 "진출램프 증설이나 신호체계 손질 등을 서두르지 않으면 애써 만든 지능형 교통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