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으로 배우는 논리학 개념② 외연과 내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우리 머리에 떠오르는 대상에 대한 생각'이 개념이라는 사실, 잊지 않았지요?

이번 회엔 개념의 '겉모습과 속모습'에 대해 공부해 볼까요. 물건만 겉과 속이 있는 줄 알았는데 생각에도 겉과 속이 있다니 신기하죠?

개념의 겉모습을 논리학에서는 외연(外延·겉으로 보여지는 범위)이라 부르고, 속모습은 내포(內包·안에 품고 있는 성질)라 한답니다.한마디로 말하면 외연은 '범위', 내포는'특징'이지요.

사진(본지 3월 7일자 12면)은 미국 바비 인형(파란 눈과 금발)의 인기에 맞불을 놓기 위해 이란 정부가 지난 5일 선보인 '사라 인형'입니다. 여덟살짜리 여자 어린이의 몸매에 갈색 머리와 갈색 눈을 가졌다는군요.

여러분은 생일이나 크리스마스 등 기념일에 예쁜 인형 선물을 받은 적이 있나요? 참! 지난 밸런타인 데이에 초콜릿과 함께 선물을 받은 친구들도 있겠군요.

인형이란 '헝겊·플라스틱 등으로 사람이나 동물의 모습을 본떠 만든 장난감'이라고 사전에 나와 있는데, 이는 인형의 내포(특징)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그럼 인형의 외연은 무엇일까요? 곰인형, 마시마로인형, 향기 나는 인형, 말 하는 인형 등 인형이라고 부를 수 있는 범위 전체를 가리키죠.

"선생님, 그냥 생각만 하면 되지 생각의 겉모습(외연)이랑 속모습(내포)을 꼭 알아야 하나요?" 라고 묻는 친구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사물의 이치를 제대로 헤아리려면 개념(생각)을 바로 알아야 하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선 내포와 외연을 뚜렷이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①우리들이 즐겨먹는 간식의 내포와 외연은 무엇일까요?

☞간식의 내포는 '끼니 외에 먹는 음식'이고,외연은 딸기·감자튀김·아이스크림 등입니다.

②날씨 지면에 나오는 '서울·대구·파리·런던' 등 지명은 무엇의 외연일까요?

☞답은 '도시'입니다.

③그렇다면 도시의 내포가 무엇인지도 궁금하네요.

☞'사람이 많이 살고 건물이 많으며,정부기관·학교·병원·오락시설 등이 집중돼 있는 지역'이랍니다. 사전을 찾아보세요. 사전을 많이 찾으면 똑똑해져요.

④신문에서 사진이나 낱말을 하나 골라 내포와 외연을 말해 보세요.

박미영<본지 nie 연구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