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부, 투자공사 설립으로 제2 외환위기 위험성 키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김태동(사진) 금융통화위원은 10일 "외환위기와 신용카드 대란을 초래한 책임이 있는 재정경제부가 염치도 없이 한국투자공사(KIC) 설립을 통해 제2의 외환위기 위험을 키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잘못된 정책에 대해서는 책임을 분명히 물어야 한다"며 "무능한 공무원은 내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이날 아침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재경부가 외환보유액에서 200억달러를 떼어내 투자공사를 설립한 뒤 외국에서 자산운용을 하겠다고 하지만 국내에서 가장 뒤떨어진 분야가 자산운용업"이라며 "홈그라운드에서도 제대로 못하는 것을 외국에서 하겠다고 하니 이 돈을 거의 탕진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이헌재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이 콜금리 인하를 주문한 듯한 발언에 대해 그는 "선진국 재무장관이라면 그런 얘기는 하지 않는다"며 "콜금리 문제에 대해서는 얘기를 하지 않는 것이 시장에 도움이 되지만, 현 부총리도 그렇고 전임 부총리도 가끔 오해 소지가 있는 발언을 해 유감"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은 "외환위기와 신용카드의 모든 책임이 어디 있겠는가. 재경부에 없다면 더 높은 곳에 있다"면서 "재경부가 자기 할 일도 못하고 (금통위 소관인) 통화정책 얘기를 꺼내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은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4%로 전망한 것과 관련, 김 위원은"잠재성장률 5% 비해서는 1%포인트 낮은 것이지만 재경부가 경제를 망쳐놓은 것에 비하면 민간시장에서 잘하고 있으며, 재경부는 제발 그것을 더 낮추는 일만 하지 말라"고 주문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