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인력 확보 비상근무체제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철도·발전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움직임을 보이자 관계당국은 서둘러 대체 교통수단·인력 확보 대책을 마련했다.

◇철도=건설교통부는 23일 '정부합동 특별수송대책본부'를 설치,기관차 운전 경력이 있는 철도청 일반직원과 비조합원·퇴직자·군인력 등 가용 인력 2천5백여명을 투입키로 했다. 이에 따라 파업 첫날 우선 출퇴근 시간대 통일호 위주로 통근열차를 편성하고 상황에 따라 수출입 화물·유류·생필품 수송 화물열차를 운행할 방침이다.

그러나 파업 초기에는 평소의 20% 정도밖에 열차를 운행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대체 교통수단으로 항공편 20회, 고속버스 2천1백88회를 증편할 계획이다.

◇발전·가스=산업자원부는 발전·가스 부문의 파업 대체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2일부터 철야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갔다.

산자부는 발전의 경우 전력 사용량이 가장 많은 여름철에 비해 요즘 예비율이 20~30% 정도 여유가 있는 데다 파업에 가담하지 않는 원자력 부문이 전체 발전량의 40% 가량을 부담하고 있어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전력의 5개 발전 자회사들은 간부직 2천명을 포함해 모두 6천명에 달하는 비상인력을 확보, 직원 30%가 파업에 참가할 경우 4조 3교대 근무하고 50% 이상 파업할 경우 3조 3교대로 운영요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가스의 경우 중앙통제실에서 자동통제 시스템 운영체제가 가동하므로 파업이 장기화하지 않는 한 공급에는 이상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혜경 전문기자·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