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청년층 일자리 부족, 여전히 심각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지난 5월의 고용(雇傭) 사정이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무려 58만6000명이 늘어 8년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고, 지난 1월 5%까지 치솟았던 실업률(失業率)이 3.2%로 크게 낮아지면서 실업자 수도 7개월 만에 처음으로 8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경기 회복의 훈풍이 점차 고용시장에도 불기 시작했다는 유력한 증거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수치만으로 고용시장이 확실하게 살아났다고 단정하긴 이르다. 전체적인 고용시장의 여건이 개선된 것은 분명하지만 불안한 구석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청년 실업이 해소되기는커녕 오히려 악화됐다는 점이 걱정이다. 연령별 취업자 수를 보면 전 연령층에서 취업자 수가 늘어난 가운데 20대만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만2000명이 줄었다. 30대 취업자 수도 불과 1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창 일해야 할 청년층의 취업이 부진한 반면 50대와 60대의 노령층 취업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청년층의 일자리는 줄어들고 노령층의 생계형 일자리만 늘어난 셈이다.

이런 식의 고용 회복은 결코 바람직한 모습이 아니다. 전체 취업자 수가 늘어도 고용의 안정성이나 일자리의 질이 개선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취업통계에서 제외되는 비경제활동인구가 전체적으로 전월보다 줄어들었는데도 유독 청년층에서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그냥 쉬었다’는 인구가 늘어난 데서도 같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진정한 고용시장의 회복은 청년층의 취업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데서 찾아야 한다. 겉으로 드러난 고용 수치만을 보고 고용 사정이 나아졌다고 안심할 게 아니라, 젊은이들에게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줘야 한다. 앞으로 고용 사정이 더 나아진다는 보장도 없다. 6월부터 공공부문의 일자리는 줄어들게 돼 있다. 여기다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이 확산되고, 각국이 재정 긴축을 확대할 경우 경기의 회복세가 꺾일 우려가 크다.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고민이 앞으로 더욱 치열하게 계속돼야 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