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서해 연합 훈련’ 갑자기 축소·연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미 양국이 7~11일 서해에서 실시할 예정이던 연합 해군훈련이 돌연 축소·연기됐다. 군 고위 관계자는 “다음 주 초에 열릴 계획이던 대북 무력시위 성격의 연합 해군훈련이 2~3주 연기됐다”며 “이 훈련에 이어 실시될 2단계 훈련인 한·미 연합 대잠(對潛)훈련도 이달 말 또는 7월 초에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지난 3일 월터 샤프 연합사령관이 이상의 합참의장에게 연합 해군훈련에 대한 연기 문제를 갑자기 요청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은 싱가포르에서 “유엔 외교를 위해 한·미 연합훈련이 연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이 훈련에는 미 7함대 소속의 항모전투단이 참가할 계획이었으나 미 국방부 측은 항공모함을 파견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제프 모렐 국방부 대변인은 ‘미국의 소리(VOA)’ 방송과의 e-메일 인터뷰에서 “어떤 항공모함도 가까운 시기에 한반도 근처에 가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미 연합 해군훈련이 축소·연기된 데 대해 군 고위관계자는 “갑작스럽게 대규모 훈련을 하는 데 따른 준비 사정도 있지만 중국의 우려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소식통은 중국이 자신들의 앞마당이라고 간주하는 서해에서 한·미 양국이 대규모 훈련을 실시하는 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한·미 국방장관 회담=김태영 국방장관과 게이츠 미 국방장관은 4일 북한의 천안함 공격에 대한 단호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데 합의했다. 양국 장관은 이날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9차 아시아안보회의 양자대담을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고 회담 관계자가 전했다. 마샤오톈(馬曉天) 중국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은 김 장관과의 면담에서 “북한을 설득하는 데 중국으로서도 한계가 있다”며 “한국 정부의 조사결과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지만 100% 한국 정부의 뜻에 부합하게 행동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고 회담 관계자가 전했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싱가포르=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