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평채 가산금리 오름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그동안 떨어지던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가산금리가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외평채는 원화 가치 안정 등을 위해 정부가 해외에서 발행하는 채권이다. 외평채의 금리는 국내 기업이 외국에서 돈을 빌릴 때 기준이 된다. 따라서 외평채 금리가 올라가면 국내 기업의 외화채권 이자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6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지난 2일 미국 뉴욕에서 거래된 10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는 미국 재무부 채권(TB)기준으로 0.6%포인트를 기록, 1개월 전인 11월 2일(0.49%포인트)에 비해 0.11%포인트 올랐다.

10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는 올 중순까지 0.7%포인트 안팎이었으나 그 이후 계속 떨어져 11월 중순까지 0.5%포인트 수준으로 내려갔다. 그러나 11월 말부터 다시 오름세로 돌아 0.6%포인트 대에 진입했다.

반면 올 중순 이후 우리나라 외평채의 가산금리보다 높았던 중국 국채의 가산금리는 계속 떨어져 11월 중순 이후부터 외평채보다 낮아졌다.

재경부 관계자는 "올 11월 초를 전후로 우리나라 외평채의 가산금리가 다른 나라 국채의 가산금리에 비해 큰 폭으로 떨어지자 차익실현을 위한 매물이 최근 시장에 나오면서 외평채 가산금리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장 관계자들은 경기침체가 더 확산하면서 우리나라의 신인도가 나빠진 탓도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외환시장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신용등급이 엇비슷한 중국 국채의 가산금리는 계속 떨어지는 데 비해 우리나라 외평채 가산금리가 오르는 것은 우리의 경기침체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