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교육과정 수시로 개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5~10년 주기로 전면적으로 바뀌어온 초.중.고교의 교육과정이 앞으로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부분 개정된다.

교육과정이란 초.중.고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국가가 기준을 정해 놓은 틀이다. 1955년 1차 교육과정이 시작된 이후 여섯번의 전면 개정 과정을 거쳐 현재 7차 교육과정이 시행.적용 중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1일 "올해부터 교육과정 개편 방식을 선진국처럼 '수시 부분 개정' 방식으로 바꾸기로 했으며 이달 안에 교육과정 개정 업무를 전담할 '교육과정심의회'를 교육부 산하 상설기구로 설치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대학과 각급 학교.연구단체.학회.학부모 단체 등에서 2백79명의 심의위원 후보를 추천받아 심사 중이며 이중 1백명을 최종 선정할 방침이다.

이들은 심의회 운영위원.학교급별 심의위원으로 위촉돼 교육과정심의회 비상근 위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교육과정심의회는 교과별 교육과정을 수시로 점검해 학교 현장의 수정.보완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교과 교육과정 태스크포스(TF) 소위원회를 구성해 곧바로 개정 작업을 하게 된다.

이같은 방침은 지금까지의 주기적.전면적 교육과정 개정 방식으로는 급변하는 사회.문화 현실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에 적절치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후진국의 경우 국가가 교육과정을 전면 개정해 시행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며 "그러나 컴퓨터 등 급속하게 변화하는 교과목에 대해서는 수시로 부분 수정.보완하는 방식이 혼란을 방지하고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7차 교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새로 출범하는 교육과정심의회에서 수시로 보완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육과정의 수시 부분 개정 제도 도입으로 앞으로는 '8차 교육과정''9차 교육과정'같은 명칭은 자취를 감추게 된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