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국내서 발견한 악성코드는 몇개뿐 … 역기능만 부각 말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20일 오전 10시 정부 과천청사의 한 회의장. S통신사 직원이 기획재정부 공무원 40여 명을 상대로 여러 스마트폰의 장단점을 소개하고 있었다. 오후 2시에 한 차례 더 열린 설명회에는 50여 명이 참석했다. 정보화담당관실 관계자는 “여러 스마트폰 중에서 자기에게 맞는 것을 고르는 법을 궁금해하는 이들이 많아 설명회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이 도청과 해킹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하지만 공무원들은 스마트폰을 쓰는 데 제약을 느끼지 않고 있다. 스마트폰을 애용하는 장·차관이나 실·국장도 적지 않다. 한 장관은 이동 중인 차 안에서 스마트폰으로 이런 유형의 트위터 메시지를 날린다. “요즘 기운이 없었는데…, 조금 낫네요. 지난 국회에서 ○○법이 처리 안 돼 그랬나 봅니다.”

얼마 전 부임한 허경욱 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는 재정부 차관 시절 ‘스마트폰 전도사’였다. 다른 부처에 앞서 재정부가 가장 먼저 ‘시사경제용어’와 ‘주요 경제지표’ 같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을 내놓자 실무자들을 칭찬하기도 했다. 다만 지식경제부에선 스마트폰 기기를 만드는 국내기업들을 의식해 외국산 스마트폰 사용을 다소 자제하는 분위기다.

◆안전수칙 지키면 사고 예방=지식경제부는 지난달 5일 최경환 장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시연회를 열고 국내업체가 만든 스마트폰의 해킹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러나 지경부는 “스마트폰 보안시연회가 악성코드가 포함된 의심메일을 확인하고, 해커 운영사이트에 접속한 특수조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일반적 조건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해킹·도청 같은 역기능이나 보안위협이 지나치게 부각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 지경부의 입장이다.

◆정부의 보안대책=정부는 보안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 스마트폰에서 악성코드가 발견된 지난달 21일엔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관합동 대응반’을 가동했다.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도 이번 주 각 부처에 ‘국가 공공기관 업무용 스마트폰 보안규격’ 자료를 배포했다. 지경부는 악성코드 실행방지 등의 보안솔루션 기술을 보안업체와 공동으로 개발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활발해진 스마트폰 보급과 정보기술(IT)의 융합을 보안산업을 육성할 모멘텀으로 살리겠다는 뜻이다.

허귀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