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오늘 발표 어떤 내용 담기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천안함 사건을 조사 중인 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 침몰 원인을 발표한다.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합조단은 천안함이 침몰한 지난 3월 26일 이후 가능한 모든 방법과 수단을 동원해 천안함이 침몰한 원인을 조사해왔다. 합조단은 ▶사진·영상·통신·사이버 분석 등 과학수사팀 ▶시뮬레이션과 손상 과정 등 선체구조 및 관리팀 ▶폭발 유형 분석팀 ▶해저 장애물과 유형별 적 도발 가능성을 판단하는 정보·작전분석팀 등의 조사 결과를 종합해 발표할 예정이다.

◆과학수사=침몰 원인 분석에 가장 중요한 분야다. 과학수사팀은 천안함 절단면과 해저 바닥에서 수거한 파편과 연돌(굴뚝)에서 검출한 화약 흔적을 집중 분석했다. 화학기법을 사용해 화약 성분을 구성하는 분자기호를 찾아내 다른 나라의 화약과 비교 분석했다. 이 가운데 어뢰에서 주로 사용하는 RDX가 검출된 것은 천안함이 어뢰의 공격을 받았다는 점을 결정적으로 뒷받침했다. 또 RDX와 섞어서 어뢰의 탄두를 구성하는 TNT는 북한과 옛 소련 및 중국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유형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어뢰를 사용한 국가가 북한으로 좁혀지게 됐다. 특히 어뢰의 추진력을 내는 화약은 우리 군이 보관 중인 북한군의 훈련용 어뢰 속에 든 것과 같은 유형이었다. 북한제 어뢰의 결정적 증거의 하나가 됐다. 이 훈련용 어뢰는 북한군이 7년 전 잃어버린 것을 우리 군이 수거해 보관해온 것이다. 또 합조단이 수거한 파편의 재질도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천안함의 절단면과 사건 해역의 해저 바닥에서 수거한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합금 파편이 북한군 훈련용 어뢰의 그것과 재질이 흡사하다는 것이다.

◆선체구조 및 관리=천안함이 두 동강 나면서 함미가 불과 1∼2분 만에 바닷속으로 침몰된 원인을 분석했다. 합조단은 대덕연구단지의 과학자들과 미국 선체구조 해석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천안함을 일순간에 두 동강 낼 수 있는 폭발 원인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추정했다. 분석 결과 어뢰는 천안함 좌현 수중에서 3~5m로 근접해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됐다. 합조단 윤덕용 공동단장은 지난 1차 발표 때 “함미 바닥면 근처에는 좌측에서 큰 힘이 작용해 선체를 포함한 철판들이 안쪽으로 휘어져 있고, 우측에는 파손이 생겨 열려 있다”고 말했다. 윤 단장은 “폭발물이 선체를 직접 타격한 게 아니라 근접해서 타격한 뒤 (버블제트를 일으켜) 선체를 절단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어뢰의 탄두는 250㎏ 규모로 추정됐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