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총재, 辛·愼문제·교원 정년 분리대응 밝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이회창(얼굴)총재가 귀국을 하루 앞둔 27일 신건국정원장과 신승남검찰총장의 사퇴를 강하게 밀어붙이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李총재는 이날 헬싱키에서의 기자간담회에서 "여권이 검찰총장과 국정원장 사퇴 문제를 정쟁거리로 호도하면서 본질을 덮으려 하고 있다"며 '원칙대로 처리'를 강조했다.

다만 교원정년 연장을 골자로 한 교육공무원법 개정안 처리에 대해서는 "당내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정해진 당론이지만, 귀국해 어떤 얘기가 나왔는지 구체적으로 들어봐야겠다"며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李총재가 교원정년 연장문제와 검찰총장.국정원장 사퇴문제를 분리 대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李총재의 한 측근은 "여론의 비판을 받아온 교원정년 연장문제엔 다소 유연한 입장을 보이겠지만, 愼.辛압박은 더 강화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李총재는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의 영수회담에 대해서도 "돌아가서 바로 만날 생각이 없다"고 잘랐다.

이에 대해 평소 李총재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을 삼가던 민주당 한광옥(韓光玉)대표는 "한나라당 당론에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지만 외국에 나가 있으면 외교를 해야지 왜 국내정치 얘기를 하느냐"고 지적했다.

다음은 李총재와의 일문일답.

-이달 말로 시한을 박은 검찰총장.국정원장 사퇴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탄핵을 추진할 것인가.

"그동안 드러난 국정원 관계자의 비리나 (검찰의)은폐는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 이런 국가질서 문란행위에 대해 야당이 물러나라고 하기 전에 (대통령이)스스로 처리해야 했다."

-최근 金대통령이 '당 총재직을 떠난 만큼 야당도 국정협조 약속을 지키라'고 했는데.

"대통령이 우리당 요구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총재직 사퇴는 국정쇄신의 첫걸음일 뿐이다. 각종 부정부패 사건 등에 대해 결단을 내려야 한다."

-'제왕적 대통령'이 항상 문제였다. 내년 대선후보로 나오는 과정에서 당권.대권을 분리할 생각은.

"제왕적 대통령과 당권.대권 분리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金대통령에게 민주당 총재직을 떠나라고 요구한 것은 그동안 대통령과 여당 총수의 역할을 제대로 구별해 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헬싱키=이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