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게이트 수사에 외압 의혹 증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지난해 검찰이 진승현(陳承鉉)씨 금융비리 사건을 수사하면서 정.관계 로비에 쓰인 수표를 제대로 추적하지 않아 외압에 의한 축소수사라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서울지검 관계자는 18일 "지난해 수사 때 김재환(金在桓) 전 MCI코리아 회장이 陳씨에게서 받은 10만원권 자기앞수표 1억5천만원의 사용처 추적이 일부 수표에 대해서만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모든 수표의 사용처 추적 작업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당시 수사팀은 "김재환씨의 진술에 신빙성이 없어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특수수사에 정통한 검사들은 "전체 로비 자금의 규모와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비리 사건 수사의 기본"이라며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해 9월 陳씨 내사 기간 중 김은성(金銀星) 국가정보원 2차장이 陳씨 수사 문제로 대검 고위 간부들을 방문했으며, 지난해 수사팀이 김재환씨가 돈을 주었다고 진술한 민주당 김방림(金芳林)의원과 국정원 정성홍 전 경제과장 등을 조사하지 않은 사실이 최근 드러나 축소.은폐 수사라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이에 따라 검찰 안팎에서는 陳씨 수사가 정.관계 로비 부분은 차단된 채 금융비리 부분만 이루어진 것을 金전차장의 대검 방문과 연관짓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이는 金전차장이 검찰 고위 간부들을 방문한 이유가 석연치 않기 때문이다.

金전차장은 "딸의 혼담 문제로 陳씨의 사건을 알아봤을 뿐"이라고 주장했지만 陳씨 가족들은 최근 "혼담은 금시초문"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金전차장의 대검 간부 방문 직후 서울지검 간부들이 "의혹 사건에 대해서는 수사를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고 실제 수사가 그렇게 진행된 것도 국정원의 압력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갖게 한다.

한편 검찰은 18일 陳씨와 부친 수학(壽鶴)씨 등을 소환 조사했다.

陳씨의 부친은 "金씨가 올해 초 집행유예로 석방된 뒤 '정성홍 과장에게 빌려준 4천만원을 되돌려받았다'며 돈을 가져왔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