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관급회담 결렬… 12월 이산상봉 백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금강산에서 지난 9일 시작한 6차 남북 장관급 회담이 14일 새벽 협상을 끝으로 완전 결렬됨에 따라 향후 남북관계가 상당기간 소강상태에 빠지게 됐다.

특히 회담 중 한때 합의한 '12월 초순 금강산 지역에서의 이산가족 상봉'이 백지화되고, 북측이 결렬 책임을 남측에 떠넘기는 공세도 펼치고 있어 향후 정부의 대북 정책 추진에 부담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에 따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상임위원회 가동 등을 통해 향후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북측과의 대화 재개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

남북한은 회담 일정을 이틀간 연장하며 수석대표 접촉과 실무협상을 통해 경제협력추진위원회(경추위) 개최 장소 등 공동보도문 마련을 위한 막판 절충을 벌였지만 합의에 실패해 14일 오전 7시 3차 전체회의를 열어 회담을 종료했다. 남측은 경추위 개최 장소로 서울을, 북측은 금강산을 주장했다.

홍순영(洪淳瑛.통일부 장관)남측 수석대표는 결렬 직후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미결상태로 두고 회의를 마치게 돼 유감"이라며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다소 냉각기가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洪수석대표는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 면담도 이뤄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북측 김영성(내각 책임참사)단장은 "회담이 남측의 부당한 태도로 말미암아 결실없이 끝나게 됨으로써 쌍방 합의사항의 이행이 어렵게 되고 북남관계가 악화되게 될 새로운 위험이 조성됐다"고 말한 것으로 평양방송이 이날 보도했다.

그는 "이러한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공동선언의 근본정신을 부정하는 남측에 있다"고 밝혔다.

洪수석대표를 포함한 남측 대표단 39명은 이날 오전 현대 설봉호편으로 속초항에 귀환했다.

한편 민주당 이낙연(李洛淵)대변인은 논평에서 "우리의 대 테러 경계태세를 문제삼아 회담을 결렬시킨 것은 북측 잘못"이라고 밝혔고, 한나라당 장광근(張光根)수석부대변인은 "국민의 자존심과 국가 이익을 도외시한 망국적 대북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