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쏟아지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으로 오인 말아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요즘 들어 기능성이란 단어가 우리 생활 주변에 자주 쓰이고 있다. 일상생활용품에서 먹거리까지 제각기 기능성이 있다고 하는 것이 부지기수다. 과연 기능성은 믿을 수 있는 것인지, 있으면 얼마나 있는 것인지, 그 기능성은 누가 인정해준 것인지, 소비자는 혼란스럽고 잘못된 정보에 현혹돼 피해를 보고 하소연해 오는 사례가 부쩍 늘고 있다.

정부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올 1월부터 시행에 들어가 이제 9개월여 지났다. 건강기능식품법은 건강기능식품을 따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관리체계로 그 목적이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고 건전한 유통.판매를 도모함으로써 국민건강을 증진함과 소비자를 보호하는 데 있다.

본래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얻는 데 있으며, 일상 식생활로선 부족하기 쉬운 특정 영양소 등을 보충하기 위할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이다. 결코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복용하는 의약품이 아니다. 그러나 많은 소비자는 건강기능식품이 마치 의약품인 것처럼 인식하고 그 효능.효과만을 기대하고 있다.

지금까지 건강기능식품은 다단계판매 방식이나 판매원이 직접 방문해 판매하는 방문판매 방식 또는 전화 권유, 인터넷.TV홈쇼핑 등 주로 무점포 형태의 판매가 있다. 이런 과정에서 소비자는 제품에 대한 확실한 정보도 없이 자기 의사에 의하기보다 허위.광대광고에 현혹되거나 막연한 기대감에서 구매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미국 등 외국에서는 주로 대단위 점포를 갖추고 다양한 건강식품을 진열해 놓고 소비자가 자기에게 맞는 건강기능식품을 직접 구매하게 하는 형태가 주다.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충분하게 얻는 것이 중요하다.

제일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우선 제품에 쓰여 있는 표시다. 제품의 표시에는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와 주요 원료.성분.기능정보.영양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의약품이 아닙니다'라는 문구도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돼 있다. 기능정보에서는 식의약청장이 인정하는 기능성 내용에 한해 표시하도록 하고 있고, 기능성에 대한 표시나 광고내용에 대해 사전에 적정한지 심의를 받도록 해 허위나 사실보다 과장해 광고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내용들이 표시되지 않았다면 표시를 잘못한 것이거나 건강기능식품이 아니라고 봐도 된다. 그 밖에 의사.약사.영양사 등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조언받는 방법도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해주는 의약품이 아니다. 따라서 효능.효과에 대한 지나친 기대보다 제품정보를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지혜가 꼭 필요하다.

임기섭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