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세화·송당' 개발에 환경단체들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천연동굴의 훼손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세화 ·송당관광지구에 대해 제주도가 개발사업을 승인하자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2일 도내 최대 천연동굴군락지인 세화 ·송당관광지구에 대한 개발을 조건부로 승인한 바 있다.

이 사업은 북제주군 구좌읍 일대 71만평에 2010년까지 1조5백여억원을 투자,숙박 ·위락시설등을 갖춘 4계절 온천관광지를 조성하는 것이 내용으로 이 사업을 위해 만들어진 기업체 ㈜제주온천과 지역 지주들로 구성된 도시개발조합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는 사업승인 조건으로 종합적인 문화재 보존대책 수립등 9개항목을 제시했다.이들 조건들 중에는 사업승인의 걸림돌이 됐던 천연동굴등 매장문화재에 대한 보존대책재수립 등이 포함돼 있다.

이에대해 제주환경운동연합은 5일 성명을 통해 “제주도가 천연동굴 군락지에 대한 정밀조사와 보존대책도 세우지 않고 성급하게 대규모 개발사업을 승인해 보존해야 할 문화재를 개발의 희생양으로 만들었다”고 비난하고 “이 사업을 전면재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제주도동굴연구소는 “새로운 사실들이 속속확인되고 있는 과정에서 충분한 조사도 없이 사업승인을 내준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동굴연구소는 올들어 개발예정지 내에 길이 13∼55m의 천연동굴 2개를 실측으로 확인했고 10여개 천연동굴의 위치를 파악했었다.이에따라 문화재청도 조만간 현지 정밀조사를 벌일 계획을 세우고 있다.

반면 사업자측은 지난 9월 도에 제출한 조사보고서에서 “사업지에 일부 동굴이 분포하고 있지만 천연동굴로 볼 수 없고,문화재적 가치도 없는 공동(空洞)에 불과하다”고 단정했었다.

제주도 관계자는 “사업추진을 보장하면서 개발폐해도 줄이고자 ‘적극적 행정행위’의 하나로 조건부로 사업을 승인했다”고 말했다.

제주=양성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