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매립지 절반을 10년후 농업도시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정부가 동아건설로부터 사들인 김포매립지 4백87만평 가운데 절반만 농지로 쓰고 나머지를 관광.레저단지와 국제업무단지.유통단지 등으로 만드는 '농업도시'개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농림부는 25일 재정경제부.기획예산처.건설교통부.환경부.산업자원부.문화관광부.인천시 등 관련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참가한 실무 협의회를 열어 의견을 들은 뒤 내년 1월까지 개발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국토연구원이 마련한 김포매립지 개발계획(잠정)에 따르면 매립지의 51%인 2백52만평을 채소.화훼단지와 간척미(米) 생산지 등 농업용지로 개발하도록 돼 있다. 나머지 땅에는 ▶테마파크.골프장 등 관광.레저단지(86만평)▶국제 전시장을 갖춘 국제업무 단지(23만평)▶화물터미널 등 물류유통단지(24만평)▶생물과학 등 첨단 연구단지(6만평) 등을 조성하는 방안이다.

농림부는 특히 김포매립지가 인천국제공항과 가깝고 매립지 위쪽에 경인운하가 건설되면 교통이 편리해질 것으로 보고 8만~10만명의 인구를 수용하는 96만평의 주거단지도 조성할 방침이다.

농림부는 10년 동안 사업을 하면서 매립지를 분양해 2조3천8백억원의 수입을 올리면 개발비용을 빼고도 2천3백80억원 정도의 이익을 남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승 농촌개발국장은 "농지로 돼 있는 매립지의 절반을 용도변경해야 하지만 정부기관인 농어촌기반공사가 개발 주체로 수익금 전액이 국고로 들어가기 때문에 용도변경에 따른 특혜 시비가 생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농림부의 개발계획에 대해 환경부는 농지로 보전하자는 입장인 데 비해 건교부.산자부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용지의 비율을 더 낮추자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