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수능시험 시간 휴대전화 사용내역 조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경찰청은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수능시험 부정행위로 미뤄 다른 지역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을 것으로 보고, 21일 수능시험 부정행위에 대한 첩보수집과 탐문수사를 강화하도록 전국 지방경찰청에 긴급 지시했다.

이에 따라 일선 경찰서에서는 시.도 교육청 인터넷 홈페이지와 각종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올라온 시험 부정과 관련한 글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대리시험 등 구체적인 부정행위를 소개하는 내용을 띄웠던 네티즌의 IP 주소(인터넷 통신망에 접속한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 접속번호)를 추적해 신원을 확인하고 있다. 또 원활한 수사진행을 위해 수능시험 이전에 각종 사이트에 부정행위를 제보한 사람들은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특히 경찰은 이번에 밝혀진 휴대전화를 이용한 부정행위가 전국적으로 확대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휴대전화 사용내역 조회를 시작했다.

경찰은 우선적으로 이동통신업체의 협조를 받아 지난 17일 수능시험 시간대에 광주 지역의 모든 휴대전화 이용자 중 '동보전송(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다수에게 보내는 기능)'을 사용한 사람들을 파악하고 있다.

기술적으로 시험 부정의 직접적인 증거인 메시지 내용까지 확보할 수는 없으나 수험생이 시험 시간에 동보전송 기능 등을 사용했다면 시험부정과 연관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이 밖에 브로커가 개입돼 대리시험 등 다른 수법을 이용한 수능시험 부정행위 가능성도 조사 중이다. 올해 수능시험 이전에 유명 포털 사이트 등에는 수백만원을 내고 대리시험을 봐주겠다는 내용의 글들이 수십건씩 올라왔었다.

경찰은 주민등록증 위조방법 등이 시중에 많이 유포돼 시험 당일 위조된 주민증과 수험표로 수험생을 대신해 시험을 치른 경우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종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