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슨, 1969년 북한에 군사보복 검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미국이 1969년 북한에 대해 군사보복을 고려하다가 포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이 미국 정찰기 EC-121기를 격추해 승무원 31명이 숨지자 리처드 닉슨 당시 미 대통령은 즉각적인 대북 군사보복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이 방안은 폐기된 것으로 드러났다.

미 국무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닉슨 행정부 시절 외교문서를 비밀해제해 공개했다. 공개된 문서는 ‘1969~1972년 미국의 대외관계:한국편’으로 489쪽 분량이다.

주한미군 철수, 베트남전 파병, 미·중 관계정상화 등에 대한 한·미의 외교적 대응이 수록돼 있다.

미 정찰기 격추 사건은 69년 4월 14일 일어났다. 북한 청진 동남쪽 공해상에서 정찰 중이던 미 EC-121기를 북한 미그기가 공대공 미사일로 요격해 승무원 31명이 전원 사망했다. 닉슨 행정부 외교안보팀은 열띤 토론을 벌였지만 군사적 대응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많았다.

중앙정보국(CIA)은 “군사보복은 북한에 이득을 줄 수 있다”고 보고했다. 외부 위협은 북한 지도체제를 더욱 공고하게 만들고 북한 주민을 충성심으로 뭉치게 한다고 판단했다. 국방부는 “항공모함을 이용한 북한 비행장 공습이 가장 좋은 군사보복 방안이지만 사용하지 않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베트남전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또 다른 전면전을 수행할 역량이 있는지 불확실하다는 이유였다.

워싱턴=최상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