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사람] 로플린 KAIST 총장 성서로 한글 공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발전 모델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입니다. 12월 말께 MIT처럼 기업과 연계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대학으로서의 비전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로버트 로플린(54) KAIST 총장은 18일 저녁 자신의 공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총장으로 있는 동안 특정 분야에만 익숙한 과학기술인력이 아니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인재를 양성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2층 건물인 공관(103평)에서 세탁.청소.조리 등 모든 집안일을 혼자 하는 로플린 총장은 된장찌개.비빔밥 등 한국 음식의 맛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 구경할 수 없는 된장은 먹으면 먹을수록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고 치켜세웠고 "보신탕은 맛없는 닭고기를 먹는 기분"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잠자기 전 30분~1시간 동안 반드시 피아노를 친다는 그는 작곡 실력도 수준급이다. 이날 기자들과 만났을 때도 자신이 작곡한 '카니벌 오브 버블(거품의 사육제)'이란 곡을 연주했다.

그는 주말이면 혼자 3~4시간 캠퍼스 주변에서 하이킹을 한다. 한국어 교재와 신약성서로 한국어를 익혀 지금은 한글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이 쌓였다.

로플린 총장은 한국에 와서 느낀 점과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는 과학이야기 등을 담은 수필집을 올 연말께 펴낼 계획이다. 수필집에 실릴 삽화 20여편도 직접 그렸다.

그는 "과학의 원리와 진리는 늘 우리 주변에 있으며 우리가 어떻게 찾아내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전=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