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DJ 탈당' 시기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 대통령이 "공정한 선거관리를 위해 야당 의견도 충분히 수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 고 밝힌 다음날인 6일 한나라당은 金대통령의 당적 이탈 문제를 들고 나왔다.

金대통령의 발언이 민주당 총재직 사퇴와 탈당, 중립내각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던 참이다.

장광근(張光根)수석부대변인은 "이제야말로 당적 이탈의 결단을 내릴 때" 라며 "대통령의 약속이 신뢰를 얻으려면 국민과 정치권 전체를 납득시킬 수 있는 행동이 선행돼야 한다" 고 주장했다. 그는 또 "어떤 미사여구를 동원해도 당적 이탈 없인 정권 재창출에 탐닉한 대통령이란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며 "남은 임기 동안 '국민의 대통령' 으로 국정을 펼쳐라" 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국민을 호도하는 정치공세" 라며 펄쩍 뛰었다. 전용학(田溶鶴)대변인은 "공정한 선거관리 의지를 표현한 것을 두고 당적 이탈을 거론한 것은 적절치 못한 주장" 이라며 "당적 이탈은 대통령이 당정간의 협조로 국정을 책임있게 이끌어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정당정치의 원리에도 어긋난다" 고 반박했다. 이훈평(李訓平)의원은 "여권의 대선후보가 정해지기 전에는 말도 안되는 소리" 라고 주장했다.

정치권에선 앞으로 당적 이탈 공방이 더 빈번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25일의 재.보선부터 내년의 지방선거.대선까지 대통령의 중립성 여부가 단골 쟁점으로 등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金대통령은 탈당을 무책임한 일로 여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나라당도 공세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 한나라당 한 당직자는 "선거정국도 아닌데 탈당까지 요구할 필요가 있느냐는 내부 논란이 있었다" 고 소개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