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산정 OECD식 변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실업률을 산정하는 방식이 43년 만에 바뀐다.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에 따르던 것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이 주로 쓰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통계청은 내년 1월부터 4주간 한 번이라도 구직 활동을 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을 실업자로 분류한 실업률 통계를 주 지표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지금은 실업 여부를 일주일간의 구직 활동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새 기준을 적용하면 실업률이 기존 지표보다 0.1~0.2%포인트 높아진다. 특히 구직활동이 많은 청년층 실업률이 크게 오른다. 현재 기준으로 산정한 지난달 실업률은 3.3%인 반면 새 기준을 적용한 실업률은 3.4%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실업률은 6.8%다.

통계청 관계자는 "선진국 중에서 ILO 기준을 쓰는 국가는 우리나라와 일본 뿐이기 때문에 국제 기준에 맞춰 실업률 산정 기준을 바꾸기로 했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과거 지표와 비교할 수 있도록 기존 기준에 따른 실업률 지표도 매월 발표되는 '고용동향' 자료에 병기할 방침이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