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러 대전] 대북관계 영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정부는 미국에서의 테러참사가 자칫 남북관계에 악영항을 미치지 않을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남북대화를 북.미 관계개선과 연계시키는 전략을 구사해온 북한이 이번 사태를 내세워 오는 15일 서울에서 열기로 한 제5차 장관급 회담을 미룰 경우 모처럼 마련된 당국대화의 틀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들은 12일 "그동안 북한의 태도를 감안할 때 5차 장관급 회담은 예정대로 열릴 것" 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에 따라 13일 북한에 홍순영(洪淳瑛)통일부장관을 수석대표로 한 우리측 대표단 5명의 명단도 통보한다는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관계 개선이란 본래 목적에 초점을 두고 장관급 회담을 의연하고 차분히 풀어간다는 게 정부 입장" 이라며 "북한이 또 다시 회담 판을 깨기는 부담스러울 것" 이라고 말했다.

동국대 고유환(高有煥.북한학)교수도 "미사일방어(MD)체제 등 부시 행정부의 대외 강경정책에 대한 비판이 안팎에서 대두하는 상황을 틈타 북한도 테러지원국 등의 오명을 벗으려 남북대화에 호응할 것으로 보인다" 고 전망했다. 하지만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북.미관계 개선이란 보다 큰틀에는 부정적 파장이 미칠 것이란 견해도 적지않다.

전현준(全賢俊)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장관급 회담에서 답방시기 등에 대한 논의도 가능하지만, 2차 남북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서는 金위원장에게 줄 선물보따리가 필요하다" 며 "특히 대북 전력지원을 탐탁해하지 않는 미국의 입장을 우리 정부가 설득할 계제가 못돼 답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 분석했다.

테러지원국에 대한 미국의 강경책이 이번 사태로 더욱 강화될 게 확실시되고, 북한이 미국의 요구를 즉각 수용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북.미대화 재개는 더욱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미국과의 대화 여부를 金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연계시키고 있는 북한으로선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결국 당국회담이 예정대로 열린다 해도 경의선 철도연결 등 남북교류.협력에 국한된 의제를 놓고 협의가 벌어질 공산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