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생태 환경정책' 전환 지적 제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대구시의 환경정책이 보다 적극적인 ‘생태 환경정책’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영남자연생태보존회는 최근 각 분야 전문가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진 대구시 환경정책 토론회에서 나온 문제점을 정리,7일 발표했다.다음은 주요 내용.

◇솔라시티(Solar City)와 연계되지 않은 사업=에너지 ·자원 측면에서 친자연적 성향을 보이지 않는 밀라노 프로젝트 추진 등이 문제다.

밀라노 프로젝트가 첨단산업이 되려면 공정과정에서 오염물질 배출,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태양광 발전 등에 의한 청정에너지를 사용,이의 자급자족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국가공단이 추진중인 위천지역에 청정에너지 자급자족형 산업연구단지(Solar Vally)를 조성하면 환경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다.

◇잘못된 환경실태 홍보=도시화에 따라 식생면적이 줄어 녹지율이 줄고 있으나 녹지공간이 오히려 늘었다고 홍보하고 있다.또 오염원의 종류가 바뀌었을 뿐 대기질이 나빠지고 있는데 대기 중 아황산가스 농도가 줄었다고 대기질이 좋아졌다고 한다.

최근 5년간의 일 평균 온도가 오히려 높아지고 여러가지 요인이 있는 데도 나무를 많이 심어 기온이 내려갔다고 해 부정적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강우량을 무시하고 영천댐에서 보내는 적은 양의 유지용수로 많은 양의 더러운 금호강물이 맑아졌다거나 물이 맑아져 낚시꾼이 많아졌다는 것도 환경 실태를 잘못 인식하게 하는 요인이다.

◇비전문적이고 조정자 없는 환경부서=생태경제학 ·생태학 등을 전공한 공무원을 배치하거나 현 공무원들에게 관련분야 과목을 교육해야 한다.

추천을 받은 전문가 등으로 단체장의 자문기구를 둬 문제사업의 시행여부를 최종 결정하거나 시행중인 사업을 중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각 부서의 사업계획을 통합조정하거나 협의하는 환경담당 특별보좌관을 두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하다.

◇대안제시=택지 및 공단조성·도로건설 등 도시기본계획 수립때 에너지와 자원이용율,오염원 줄이기 등이 반영돼야 한다.이를 위해 도시계획 수립때 단체장의 자문기구나 환경부서 직원이 참여해야 한다.각 부서 용역사업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재평가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서대구 낙동강습지에 고압송전탑 설치,금호강과 낙동강변도로 개설,금호강 하류 콘크리트 호안사업 등은 이를 소홀히 해 빚어진 결과다.

녹지율 ·쾌적성 ·기후 ·지형 등을 고려한 생태적 도시계획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