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컨테이너 70% 텅텅 비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지난달 31일 경기도 의왕시의 부곡IC에 인접한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ICD). 동양 최대인 22만평 규모의 드넓은 광장에 수출용 빈 컨테이너가 산더미처럼 쌓인 모습이 을씨년스러웠다. "컨테이너 10개 중 7개는 비어 있습니다. " 의왕 ICD 관계자의 첫마디였다. 전국을 연결하는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 처리 기지가 최근 경기 침체로 활기를 잃고 있는 것이다.

◇ 외환위기 때보다도 심각=의왕ICD에서 임대 컨테이너를 위탁관리하고 있는 철도컨테이너㈜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빈 임대용 컨테이너가 3천1백90여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로 연초에 비해 두배 가까이로 늘었다. 이 회사 박효식 현장소장은 "수출 물량이 급감해 컨테이너 임대 건수가 지난해의 절반 정도인 하루 평균 20TEU 수준에 불과한 데다 쓰지 않고 반납하는 물량도 늘어 재고가 산더미처럼 쌓이고 있다" 고 말했다.

현재 의왕ICD내에 있는 전체 컨테이너 3만3천2백여TEU 가운데 70%인 2만3천2백여TEU가 빈 것이다. 지난해의 경우 빈 컨테이너 비율은 수출을 위해 예약된 대기 물량까지 포함해도 평균 60%가 안됐었다. 그러나 최근 수출이 급감하면서 예약이 크게 줄어 빈 컨테이너들은 대부분 기약도 없이 쌓여 있는 상태다.

이렇다 보니 올 상반기 이곳의 전체 컨테이너 반출.입 실적도 47만8천7백여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나 줄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에도 전년에 비해 2.7%밖에 줄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감소폭이다.

의왕ICD 운영회사인 ㈜경인ICD의 조덕희 기획운영팀장은 "삼성전자.제일제당의 이곳 통관 실적이 올 상반기 1만1천5백65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나 줄었을 정도" 라며 "외환위기 당시보다 더 심각하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고 말했다.

◇ 월말에도 썰렁=수출물량이 급감하면서 의왕ICD의 풍경이 크게 달라졌다.

현대상선의 조용섭 현장담당자는 "2년전만 해도 주말(목요일 이후)과 월말에는 수출 컨테이너 화물이 넘치는 바람에 철도편과 화물차를 구할 수 없어 애를 먹기 일쑤였는데 요즘은 시기와 상관없이 일감이 없어 한가롭다" 고 말했다. 이곳 주차장에는 하릴없이 대기 중인 컨테이너 화물차가 10여대씩 몰려 있는 것이 자주 눈에 띈다.

개인 화물차업주인 박웅기(40)씨는 "한달 평균 의왕과 부산을 12회 정도 왕복해야 하는데 요즘은 10회 채우기도 힘들다" 며 "차 할부 대금과 기름값, 보험료 등을 내고 나면 한 달에 2백만원 벌기가 쉽지 않다" 고 말했다.

화물 기차 역시 사정은 비슷해 요즘 컨테이너 물량이 없어 30~40%가 빈차로 다닌다. 철도를 이용해 부산.광양항 등으로 실어나르는 컨테이너 물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현석진 의왕역장은 "철도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직통열차 개설과 운임 할인 등의 서비스 개선과 함께 나중에 경기가 좋아졌을 때 올해의 이용 실적에 따라 기차 이용권 배정을 하겠다는 '회유' 까지 총동원하고 있다" 며 "그러나 수출경기가 워낙 안좋은 데다 경쟁업체인 민간 운수업체들이 덤핑공세를 펴고 있어 어려움이 많다" 고 말했다.

의왕 = 김시래.김남중 기자

사진=강정현 기자

◇ 의왕ICD(Inner Container Depot)〓수출입 컨테이너의 철도 수송.내륙 운송.내륙 통관 기능을 수행하는 내륙 컨테이너 물류기지로 경북 경산ICD와 함께 국내 컨테이너 화물 처리를 반분하고 있다. 1996년 제2터미널 확장 공사 완공으로 연간 1백만TEU의 컨테이너 화물 처리 능력을 갖고 있으며 경인권과 충청 이북 지역의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