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 뿌리고 어장관리만… 육지오염 유입 '팔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1980년대 이후 거의 매년 여름철에 발생하는 유해성 적조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 어민들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방식으로 대처해 왔다.

바다에 황토를 뿌리고 어장관리에 급급했을 뿐 적조 발생을 줄이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는 소홀, 정도 차이는 있지만 양식어류가 떼죽음을 당하는 등 시행착오와 피해가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 문제점=적조는 일사량.수온.영양염류 등 세 가지 요소가 맞아 떨어져야 번식한다. 전문가들은 일사량과 수온은 자연현상이어서 인위적으로 어쩔 수가 없지만 영양염류는 육지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을 줄이고 해저를 정화하면 조절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국립수산진흥원 김학균(金學均)어장환경부장은 "적조 발생을 인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바다 오염을 줄이는 것이 유일한 만큼 이에 대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적조와 관련된 인력.예산.장비의 부족도 심각하다. 적조 방제연구와 기기 개발을 전담하는 국립수산진흥원의 적조 관련 예산은 연간 5억원뿐이고 전용 예찰선도 없다.

연구 인력도 연구관 세명과 연구사 다섯명 등 여덟명이 전부며 예보와 예찰업무를 함께 담당하고 있다. 진흥원 관계자는 "적조에 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려면 현재 인력의 최소 세배 수준은 돼야 한다" 고 주장했다.

바다 양식장 면허 남발도 자연스런 바닷물 흐름을 방해하고 자정능력마저 잃게 해 적조 피해를 늘리는 것으로 지적된다.

◇ 대책=전문가들은 적조억제 등 바다환경 개선을 위해 ▶행락문화 개선 등 환경에 대한 시민의식 전환▶오염이 심한 해변의 생태보호지구 지정▶바다 휴식년제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95년 시프린스호 사건을 계기로 해양오염방지 5개년 계획을 수립, 96년부터 2000년까지 3조4천억원을 투입했다. 올해에도 '해양환경보존종합계획' 을 수립, 2005년까지 4조4천억원을 추가로 투입할 예정이다.

환경기초시설을 내륙지방과 비슷한 70% 정도까지 늘리고 방제설비를 계속 확충하며, 마산만.광양만.시화호 등 오염지역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관리한다는 것이다.

부경대 박청길 교수는 "정부.환경단체와 어업 종사자들이 함께 바다를 지키고 가꾸기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인접국과 연대한 공동 해양보전사업 추진이 긴요하다" 고 지적했다.

부산=강진권.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