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법안 문제와 해법은] 4. 외국에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930년대 미국 시카고. 신문 판매대를 선점하기 위해 마피아를 동원한 총격전을 벌일 정도로 판촉 전쟁이 격렬했다. 일본 역시 60년대에는 '신문은 기자 엘리트가 만들고 야쿠자가 판매한다'는 말까지 있었다. 현재 미국은 과당 혹은 불공정 시장 행위가 근절됐으며, 일본 역시 완전치는 않지만 시장 상황이 많이 개선됐다. 이렇게 선진국들도 신문 판매를 둘러싼 과당 경쟁 시기를 거치면서 시장 정상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 신문업계 자율로 해결=세계적인 권위지 뉴욕 타임스의 경우 우리와 같은 자영 지국 형태가 없다. 신문사가 직영을 하든지 신문배달 전문회사에 외주를 준다. 판촉은 본사의 콜센터가 직접 한다. 신문은 독자와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한다. 여기에 미국신문협회의 역할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신문사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무엇보다 신문 전체의 이익을 위해 연구.마케팅 활동을 활발히 한다. 네덜란드 신문업계는 '신사협정'으로 유명하다. 이곳 신문사들은 93년 한 신문사가 전체 신문시장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지 않고 과당경쟁을 제한한다는 합의를 이뤄냈다. 약속은 지금도 잘 지켜지고 있다.

◆ 자율 + 정부 지원=노르웨이.스웨덴.독일 등은 판매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해 국가가 배달과 판촉을 지원하는 경우다.

독일의 경우 신문배달 형태는 세 가지다. ▶신문사가 직접 맡거나▶협회를 중심으로 공동배달 전문회사를 운영하거나▶가판에 의존한다.

정부는 이중 공동배달 회사를 지원하고 있으며, 신문협회는 이 회사가 공정하게 신문배달과 판촉을 하고 있는지 감독한다.

스웨덴은 60년대부터 신문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지방신문의 재정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배달회사에 직접 재정 지원을 한다. 초기에는 정부 지원금이 전체 배달 비용의 20%까지 달했으나 현재 5% 수준으로 낮아질 만큼 안정을 이뤘다. 2002년 지원금은 약 800만유로(약 120억원).

◆ 공영 + 법=프랑스는 47년 공동배달회사(NMPP)를 설립했다. 정기간행물협회 등 5개 인쇄매체 관련 단체가 공동으로 만든 이 회사는 각종 출판물 3500종을 가정에 배달한다. 국가 차원의 지원책이지만 현재 배달 지연과 구독자 감소로 회원사와 독자들의 불만도 있다.

일본의 경우는 신문협회 차원에서의 자율노력과 더불어 법으로도 판매시장의 정상화를 꾀하고 있다. 협회는 판촉요원을 의무적으로 '신문판매 근대화 센터'에 등록하게 해 교육과 연수를 받게 한다. 또 정부는 '경품 제공 고시' 등을 통해 불공정 행위를 막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