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연구비 편중 왜 생겼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대학간 연구비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이는 곧바로 연구 실적과 교육여건의 격차로 이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심각한 현상이다.

상위 10개대에 연구비가 편중되고 있는 것은 매년 2조원이 대학에 투자되고 있는 '두뇌 한국(BK)21' 등 국책사업 때문이라는 게 대학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모든 대학의 연구능력을 키우기 어려우니 이미 능력을 갖춘 일부 대학에 집중적으로 '뭉칫돈' 을 지원해 세계적인 수준으로 키우겠다는 '불균형 성장' 논리가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부 지방사립대는 '연구비 수주액 감소→연구 실적 저하→연구비 수주액 감소' 라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소규모 지방소재 대학들이 교수 한사람당 연구비에서 서울지역 대학들을 크게 앞서고 있어 눈길을 끈다.

◇ 연구비와 연구실적은 비례=미국 하버드대의 지난해 교외 지원 연구비는 4억3천78만달러(약 5천1백69억여원)로 서울대 외부 연구비(1천4백37억원)의 세배가 넘는다.

자연과학계열 교수들의 연구능력을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인 과학논문인용색인(SCI) 게재 논문 수에서도 하버드대는 지난해 8천2백78건(세계 1위)로 서울대 2천2백2건(55위)의 네배 가까이 된다. 충분한 연구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좋은 연구 실적을 내기 힘들다는 것을 입증하는 셈이다.

◇ 약진하는 지방대=교수 한 사람당 연구비에서는 상위 10위 안에 광주과학기술원(광주시.1위).한국산업기술대(시흥시.5위).호서대(천안시.9위) 등 소규모 지방대학들이 포함돼 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박사학위 취득을 위해 제출한 논문에 대해 외국 유명대학 석학들의 사전 평가를 의무화하는 '박사학위 품질 보증제' 를 시행 중이고 호서대는 벤처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BK21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