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칭하이 7.1 강진] “집·학교 수천 채 붕괴” 티베트 대재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중국 칭하이(靑海)성 위수(玉樹)티베트자치주 위수현에서 14일 규모 7.1의 강진이 발생했다. 구조대가 건물 잔해에서 피해 주민을 꺼내고 있다. 이날 지진으로 최소 400명이 숨지고 1만여 명이 다쳤다. 지진으로 붕괴된 건물에 깔린 주민들이 많아 사망자 수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위수현 AP=연합뉴스]

중국 서부 칭하이(靑海)성의 위수(玉樹)티베트자치주의 위수현에서 14일 규모 7.1(중국 지진센터 발표)의 강진이 발생해 이날 오후 4시 현재 400여 명이 숨지고 1만여 명이 다쳤다. 주중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아직까지 한국동포의 피해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지진은 이날 오전 오전 7시49분(현지시간) 위수현에서 서쪽으로 50㎞ 떨어진 상라슈(上拉秀)의 지하 33㎞ 지점에서 발생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의 규모는 6.9라고 발표했다.


국영 중국중앙방송(CC-TV)은 현지 지방 관리의 말을 인용해 “강진의 영향으로 수천 채의 가옥이 붕괴돼 시간이 갈수록 희생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전했다. 칭짱(靑藏)고원 한복판에 위치한 위수현은 티베트인들의 집단 거주지역이다. 앞서 이날 오전 5시39분에도 규모 4.7의 지진이 났으며 강진 발생 이후 오전 9시25분에는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20여 차례의 여진이 잇따랐다.

중국 지진센터 관계자는 “위수현 일대는 지질활동이 비교적 활발해 크고 작은 지진이 잦았다”며 “더 강한 지진이 발생할지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명 피해 심각”=위수현 TV방송국 관계자는 “가옥의 대부분이 붕괴돼 인명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전기 공급과 유선전화도 끊겼다”고 말했다. 특히 지진에 취약한 나무와 흙으로 만든 가옥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져 매몰된 주민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수현의 주택 85%가량이 무너졌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인구 9만 명의 위수현 주민 대부분을 차지하는 티베트인들의 희생이 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등교 시간이 지진 발생 시점보다 일러 아침 일찍 등교한 학생들의 피해가 컸을 것으로 보인다.

신화통신은 칭짱철도를 운영하는 업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지진 진앙지로부터 200㎞ 이상 떨어진 칭짱철도의 운행에는 영향이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2008년 개통된 위수현의 국내선 공항과 현지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가 대거 파손됐다고 전했다. 위수현에서 북쪽으로 820㎞ 떨어진 칭하이성의 중심도시 시닝(西寧)의 한 소식통은 “시닝에서도 진동을 느낄 정도로 이번 지진의 규모가 컸다”고 전했다.

◆군 병력 긴급 투입=위수현 정부 관계자는 “많은 사람이 거리에서 피를 흘린 채 쓰러져 있으며 학교가 붕괴돼 많은 학생이 건물 더미에 깔려 있다”고 전했다. 그는 “위수현의 호텔 건물 벽에 큰 균열이 생겼고 일부 정부청사 건물도 무너졌다”면서 “가장 필요한 것이 의료진과 의약품, 그리고 이재민용 텐트”라며 지원을 호소했다.

칭하이성 정부와 위수현 당국은 지진 발생 직후 비상 체계를 가동했다. 25명의 의료진과 65명의 소방관들로 구성된 구조팀을 현장에 급파했다. 또 5000개의 텐트와 의류 5만 점, 5만 장의 담요 등 구호물자도 긴급 지원했다.

중국군 당국도 지진 발생 직후 인근 부대에서 700여 명의 군인을 파견해 구조에 돌입했다. 또 인근 간쑤(甘肅)성 란저우(蘭州)군구 소속 병력을 지진 현장에 투입하기로 했다. 무장경찰 부대도 이미 600명을 급파한 데 이어 칭하이 일대에 주둔 중인 2100명의 병력을 추가로 파견할 방침이다. 둥팡(東方)항공은 에어버스-319 여객기 2대를 현지에 보내 구호물자 수송 임무를 맡았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