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순천 저수지→ 택지매립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남 순천시가 시내 조례저수지를 매립해 택지로 개발할 움직임을 보이자 시의회.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순천시는 최근 전남도 지방도시계획위원회에 왕조동 조례저수지의 용도지역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 도시계획 재정비안을 냈다.

현재 자연녹지인 저수지 5만여평 중 2만7천여평은 주거지역, 2만3천여평은 공원으로 바꾸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1996년부터 전체를 메워 택지를 조성하려 했다.

주변 논들이 거의 없어진 데다 물이 썩어 악취가 나고 해충이 많이 생겨 인근 주민들의 피해가 크다는 이유였다. 택지개발 수익을 노린 면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시의회는 "많은 시민들이 전체를 공원으로 살리기를 원하고 있다" 며 최근 저수지 전역을 공원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오염문제는 정화를 통해 해결할 방안이 있고, 전체 시민의 재산인 녹지공간은 한번 없애버리면 영원히 회복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또 전남동부지역사회연구소의 황주찬 사무차장은 "하수 유입을 막고 대동저수지 물을 받으면 수질 오염과 악취 피해가 없어진다" 며 "산책로를 내고 인공 섬을 만드는 등 잘 가꾸면 훌륭한 호수공원이 될 수 있다" 고 주장했다.

그는 "광주시 쌍촌동 운천저수지 2만2천여평도 현재의 조례저수지와 비슷한 처지였지만 시민들의 의견을 수용해 매립 대신 수변공원으로 조성, 전체 시민의 소중한 휴식공간이 됐다" 고 말했다.

하지만 시 관계자는 "저수지 근처 마을.아파트단지 사람들은 수변공원화를 반대해 절충안을 도시계획위원회에 냈던 것" 이라고 말했다.

광주=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