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반도체 감산 결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하이닉스반도체(http://www.hynix.com)가 감산에 들어간다.

하이닉스 고위 관계자는 13일 "수익이 나지 않는 제품의 적자부담을 덜고 D램 가격의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해 감산하기로 결정했다" 면서 "다음주부터 감산의 규모와 방법.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세계 3위의 메모리 반도체 업체인 하이닉스의 감산 결정은 NEC.도시바.밴가드 등 일본.대만 업체들의 64메가D램 감산 발표에 이어 국내업체로는 처음이다.

하이닉스는 일부 생산라인 종업원의 집단 휴가 등 다양한 감산 방안을 강구 중이다. 감산 시기는 이르면 이달 말이 될 것으로 보이며 그 규모는 최대 한달 생산량의 20% 안팎(세계시장의 4%)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감산을 하면 적자 폭이 큰 0.18마이크론(회로선 폭) 이상의 노후설비부터 손댈 것" 으로 전망했다.

하이닉스는 64메가D램 등 범용 반도체의 국제시세가 계속 떨어져 원가를 밑돌게 되자 지난달부터 여러 경로를 통해 감산의 필요성을 역설해 왔다.

이에 대해 1, 2위 업체인 삼성전자와 미국 마이크론은 감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특히 마이크론 등 일부 '빅5' 업체들은 대규모 증자 등을 통해 오히려 공격적 마케팅에 나설 태세여서 하이닉스 감산에 따른 이들 업체의 대응이 주목된다.

이에 앞서 대만의 D램 업체인 밴가드는 이달부터 64메가D램의 생산량을 20~25%, 일본 도시바는 이달 하순부터 다음달 중순까지 요카이치 공장의 생산량을 30% 줄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업종 전문가들은 하이닉스가 감산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과제라고 진단했다.

대신경제연구소의 진영훈 선임연구원은 "감산에 따른 유휴설비를 다른 용도로 전환해야 하는데 D램뿐 아니라 다른 제품의 수요도 워낙 침체돼 설비전환이 여의치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큰 관심사는 반도체 시세가 과연 상승탄력을 얻을 수 있겠느냐 하는 점이다. LG투자증권의 구희진 연구위원은 "하이닉스가 얼마나 감산할지, 다른 업체들이 동조할지가 관건" 이라면서 "세계 반도체 시장의 초과공급이 적어도 5% 이상이고 하이닉스 감산분은 많아야 4%라서 홀로 과잉물량을 해소하긴 어렵다" 고 말했다.

홍승일.나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