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말로만 "기업 유치 최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 유치에 온 힘을 쏟고 있지만 일부 지자체의 노력은 겉돌고 있다. 지원 부족으로 문턱까지 찾아 온 기업을 다른 지자체에 빼앗길 위기에 놓이는가 하면, 유치 지원 조례도 지자체 간에 엇박자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8일 전북도에 따르면 GM대우 자동차는 최근 R&D(연구개발)센터를 인천시 경제자유구역에 건립키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이 센터는 주행 및 성능 시험장 등이 포함돼 200여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돼, 그간 군산시가 유치를 위해 GM대우의 경영진과 자주 접촉하는 등 남다른 노력을 기울여 왔다. 군산시는 그간 유치를 장담했었다.

또 이 시설은 전북도가 지역특화 프로젝트로 추진하는 자동차산업의 부품 집적화단지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GM대우는 인천시로부터 "500여억원을 들여 매입한 부지 12만5000여평을 30년간 무상으로 빌려 주고 수도.전기.진입로 등 기반시설을 무료로 확충해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군산에서 인천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일본의 화학업체인 M사는 군장산업단지에 1억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었으나, 군산시가 전선 지중화를 요구하자 공장을 다른 지역에 짓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선을 땅속에 묻는 지중화 사업은 200억원 이상이 들어가 이 회사는 물론 한전도 난색을 나타내고 있다.

기업 지원 시책도 구호에 그치고 있다.

전북도와 전주.군산.익산시 등은 기업유치에 결정적 역할을 한 민간인에게 최고 1억원의 포상금을 주고, 이전 기업에게는 50억원까지 보조하겠다는 조례를 만들었다.

그러나 장수.임실.고창.부안군 등은 이같은 조례를 제정조차 하지 않고 있다.

조례를 마련한 시.군들도 관련 예산을 편성하지 않아 기업이 온다해도 보조금을 줄 수 없는 형편이다.

원스톱 행정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업콜센터' '기업지원센터' 또한 전주.군산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만 운영되고 있다.

전북도 차용복 경제통상실장은 "기업 유치를 보다 실효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들이 기업의 눈높이에 맞추려는 적극적인 자세와 능동적인 노력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