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전군에 경계태세 강화 지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시문은 또 “미제와 남조선 군부 세력들이 저들의 함선이 바다에 수장된 것을 우리 공화국과 연결시키는 것은 반공화국 모략책동”이라면서 “만약 적들이 모략책동에 매달린다면 인민 군대는 단매(한 번의 강한 타격)에 짓부술 만반의 전투준비가 돼 있다”고 주장했다. 지시문은 “불을 즐기는 자들은 불에 타 죽게 마련”이라며 “전체 인민군 장병들은 적들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경계근무를 강화하고, 만약 적들이 도발한다면 섬멸적인 타격을 가할 준비를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RFA는 전했다.

이 방송은 또 북한의 북·중 국경경비대와 접촉한 소식통을 인용, “남조선 함선이 침몰된 사건은 일반 국경경비대 군인들도 다 아는 사실”이라며 “얼마 전 상부에 올라갔던 중대 간부들이 내려와 이 같은 사실을 알려주면서 국경 경비근무를 강화할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대북 단파 라디오방송인 자유북한방송도 7일 함경북도 통신원을 인용, “현재 동·서해 함대는 물론 전방 군부대까지 한국 군함 침몰 사건 후 불시에 터질 수 있는 남한의 군사적 반격에 대비해 전투태세에 들어갔다”면서 “이런 내용을 북한 동해함대사령부가 있는 함경남도 낙원군을 방문했던 지인으로부터 전해들었다고 한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북한군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확인된 것은 없다”면서 “하지만 군에 경계강화 등의 조치를 내렸을 개연성은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사태 발생 13일째인 7일에도 아무런 보도를 내놓지 않았다.

이영종 기자


국회 대정부 질문에선 …

■ 며칠 새 구조 추궁 오락가락

- 2일 민주당 이종걸 의원 : “군이 구조를 포기했다. (잠수사) 2명씩 들어가 어떻게 46명을 구조하느냐.”

- 7일 민주당 서갑원 의원 : “69분 동안 (함미에) 물이 다 차서 장병들이 그 물속에 잠겼을 수도 있다. 한주호 준위의 주검 앞에 무슨 낯을 들어야 할지 생각해 보라.”

■ 근거 없는 예단들

-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 : “북한 군의 도발이 명백하다.”

- 민주당 김부겸 의원 : “(우리 정부가) 북한 군부 내 강경파의 도발 가능성을 흘릴 거다.”

■ 황당한 주장

-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 : “새 떼가 남북한 간 전면전을 일으킬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