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당한 좀비 스마트폰 유럽선 흔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이재현씨는 아이폰 사용자다. 앱스토어에서 게임, 외국어 학습과 관련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응용 소프트웨어)을 다운로드받아 쓴다. 어느 날 이씨는 앱스토어에는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인터넷에서 발견했다. 다운로드받아 쓰고 싶었지만 아이폰은 앱스토어에 없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금지하고 있다. 그는 이른바 ‘탈옥(jail break)’ 프로그램을 아이폰에 설치했다. 이 프로그램은 아이폰 OS(운영체제)에 변화를 일으켜 앱스토어에 없는 애플리케이션도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해 준다. 말 그대로 아이폰이 앱스토어라는 감옥에서 탈출하는 것이다. 며칠 뒤 이씨는 자신의 통장에 있던 돈 수천만원이 모두 누군가에 의해 인출된 걸 알게 됐다.

스페인 출신의 해커 호세 두아르(Jose D‘uart·32·사진)는 7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은 가상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두아르는 독일 보안업체 자이내믹스의 보안 전문가다. 스페인 정부의 IT 보안도 맡고 있다. 7일부터 서울에서 열리는 해킹·보안 콘퍼런스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그에게 스마트폰 해킹의 최신 경향에 대해 들어봤다.

“‘좀비 아이폰’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당신의 아이폰이 누군가에 의해 원격으로 조종되는 일이 곧 일어날 수 있습니다.” 두아르는 “한국에서 아이폰을 비롯한 스마트폰이 보편화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휴대전화가 진화할수록 해킹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된다”고 말했다. 그는 ‘제일 브레이크’로 인한 아이폰 해킹이 가장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아이폰 사용자들은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기 위해 자신의 아이폰에 이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사용자들은 이렇게 변형된 아이폰을 ‘해적판’이라고 부른다. 두아르는 “스마트폰이 먼저 보편화된 유럽에는 해적판 아이폰이 넘쳐난다”고 말했다.

문제는 해적판 아이폰의 보안 기능이 취약하다는 것이다. 두아르는 “아이폰에는 원거리에서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SSH)이 있는데 제일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순간 이 기능에 필요한 비밀번호가 ‘alpine’으로 자동 설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대부분의 아이폰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바꾸지 않기 때문에, 나쁜 마음을 먹은 해커들이 이 비밀번호를 이용해 해적판 아이폰에 접속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두아르는 “해커가 원거리 접속을 통해 ‘상상 가능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문자메시지와 통화기록, 저장된 사진을 보는 것은 물론 통화내용 도청과 인터넷 뱅킹 정보를 빼내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말했다. “말 그대로 내 손 안의 아이폰이 ‘좀비’로 변한다”는 것이다.

두아르는 “일반 휴대전화가 ‘개집’이라면 스마트폰은 ‘백악관’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백악관이 살기에 편리하고 보기도 좋겠지만 창문이 많아 도둑이 들 가능성도 커진다는 것이다. 그는 “편한 생활을 마음 놓고 즐기려면 그만큼 철저한 보안 의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