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시장 "수도이전 편법 추진은 정도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명박(李明博) 서울 시장이 어떤 형태의 행정수도 이전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또다시 역설하고 나섰다. 5일 오전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가진 한국 특파원들과의 조찬 간담회 자리에서다. 이 시장은 3~5일 모스크바에서 열린‘서울의 날’행사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했다.

이 시장은 “수도이전 위헌 판결 이후 편법을 동원해 이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이는 정도가 아니다”며 수도이전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충청권 행정도시안 등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시장은 “만일 그렇게 해서 대통령이 서울에 있고 정부 부서는 지방에 가 있다면 국정이 제대로 운영이 되겠느냐”고 반문하고 “수도 이전 문제는 국가 경영의 효율성, 행정의 효율성 차원에서 신중하게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은 국토의 균형발전이란 시각에서만 행정수도 이전의 필요성을 역설하나 내 생각엔 좁은 견해”라며 “수도를 옮겨야만 국토가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반박했다. 이 시장은 “최근 교통수단이 발달해 200km까지는 하나의 도시로 볼 수 있다”며 “120km 거리로 기차를 타면 48분에 도착하는 충청권에 수도를 옮기는 것은 경제성도 없고 국토균형발전 개념하고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에서는 충청도민들의 여론을 내세워 수도 이전을 밀어부치려 하나 이또한 잘 못된 생각”이라며 “충청도에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지원 방법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시장은 “수도 이전은 6.25 이후 우리 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이라고 볼 수 있을 만큼 국가 백년대계가 걸린 사안”이라며 “(정치권은) 표 계산을 갖고 일을 하면 안되며 정부도 냉정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 시장은 “경제논리보다 지배 구조 변동 등 정치적 목적을 위해 수도 이전을 무리하게 추진하면서 많은 문제가 야기됐다”며 국정홍보처의 서울 비하 광고 등에 충격을 받았다고 털어 놓았다. 이 시장은 5일 모스크바를 떠나 알마티에서 아스타나로 수도 이전 경험을 가진 카자흐스탄을 방문한 뒤 10일 귀국한다.

모스크바=유철종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