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도시기본계획 시민단체·주민이 함께 세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지난 19일 충북 청주시의 도시기본계획 공청회가 열린 시민회관.그린벨트 해제를 둘러싼 갈등으로 타지역처럼 분위기가 험악할 것이라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공청회는 시종 진지하고 건설적인 토론장이 됐고 주민들의 박수 속에 끝났다.참석했던 타도시 관계자들은 이를 비디오카메라로 찍으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공무원과 전문가의 고유영역이던 도시계획에 주민과 시민단체가 함께 참여해 '모범답안'을 만들어냈다.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자치단체마다 주민의견 조정 실패로 도시계획 수립에 진통을 겪기 일쑤지만 청주시는 처음부터 주민을 참여시켜 '무통분만'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시는 지난해 7월 그린벨트 전면해제지역이 발표된 뒤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연구용역을 충북대 건설기술연구소에 의뢰하면서 시의회와 시민단체를 참여시켰다.청주환경련은 친수(親水)환경조성 방안을,청주경실련은 주민공동체조성 방안을,청주시민회는 도시의 비전설정 방안을 각각 맡아 의견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13차례의 워크숍을 열고 여기서 나온 내용을 놓고 20여명의 주민대표를 초청,4차례의 간담회를 가졌다.

시는 이렇게 도출된 계획안에 대해 최근 주민설명회를 15차례 열었다.

시는 5천분의1 도면에 주민들이 요구사항을 직접 표시토록 했으며 주민동반 현장조사도 수십차례 실시했다.

충북그린벨트농민 권리회복추진위 이민희(李敏熙 ·52)위원장은 "당초 요구의 70% 정도만 반영됐지만 처음부터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 덕분에 주민 대부분이 새 도시계획안을 수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책임자인 충북대 황희연(黃熙淵 ·도시공학)교수는 "이번 입안 과정은 주민 신뢰 획득을 통해 사익과 공익의 조화점을 찾는 그야말로 '윈윈게임'이 됐다"면서 "규제가 심한 공원 지정비율이 청주보다 낮은데도 공청회가 무산되거나 엉망으로 진행된 타도시의 사례에 비춰 앞으로 도시행정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백82㎢의 그린벨트 해제를 포함한 새 도시기본계획은 시 ·도 ·정부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차례로 거쳐 연말께 최종 확정된다.

청주=안남영 기자

◇도시계획 입안 과정

▶2000년 7월 그린벨트 해제지역 발표

▶도시기본계획 연구용역 의뢰하면서 시민단체 등 참여

▶청주환경련 ·청주경실련 ·청주시민회 등으로 분야별 연구팀 구성

▶13차례 연구팀 워크숍

▶워크숍 결과 놓고 주민대표들과 4차례 간담회

▶주민 설명회 15차례,주민동반 현장조사 수십차례

▶2001년 6월19일 도시기본계획 공청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