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침몰 쌍끌이 전화번호 혼동해 구조 늦어져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60호 04면

2일 금양호와 충돌한 것으로 추정되는 캄보디아 화물선을 해경이 공해상에서 나포해 대청도 앞바다로 이동시키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천안함 실종자 수색작업에 나섰던 쌍끌이어선 98금양호(99t)가 2일 서해 대청도 해상에서 침몰해 2명이 숨지고 7명이 실종됐다. 인천해양경찰서는 “2일 오후 8시30분께 인천시 옹진군 대청도 남서쪽 30마일(약 48㎞) 해상에서 저인망어선 98금양호가 침몰했다”고 밝혔다. 천안함이 침몰한 지점과 약 29마일(약 47㎞) 떨어진 곳이다.

붙잡힌 캄보디아 화물선, 쌍끌이 어선과 충돌 시인

쌍끌이 저인망어선 98금양호는 2일 오후 3시부터 97금양호와 짝을 이뤄 천안함 사고 해역에서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었다. 하지만 그물이 찢어져 17분 만에 작업을 중단하고 조업을 위해 어장으로 돌아가던 중 사고를 당했다. 해경은 98금양호가 캄보디아 국적 화물선 ‘타이요 1호’(1472t)와 부딪혀 침몰한 것으로 보고 조사 중이다. 해경은 3일 타이요호를 붙잡아 대청도로 끌고 왔다. 해경 관계자는 “선체에 충돌한 흔적이 있으며 (타이요호 측도) 혐의를 일부 시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해경은 해군과 함께 실종 선원들에 대한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3일 오전 9시10분께는 사고 해역 인근에서 선원 김종평(55)씨의 시신을 발견했다. 해군 헬기가 발견한 김씨의 시신은 이날 인천 송도가족사랑병원으로 옮겨졌다. 해경은 또 이날 오후 7시15분께 대청도 남서쪽 50㎞ 해상에서 인도네시아인 선원 캄당 누르카효(36)의 시신을 추가로 발견했다.

98금양호를 비롯한 쌍끌이어선 10척은 2일 오후 2시20분부터 천안함 사고 해역에서 2시간여에 걸쳐 수색작업을 벌였다. 하지만 그물이 파손되고 “어장이 파괴될 수 있다”는 백령도·대청도 어민들의 항의가 잇따라 작업을 중단했다.

최초 조난 신호 접수 직후 사고 선박의 연락처를 혼동하는 등 해경의 구조가 늦어졌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해경은 2일 오후 8시30분께 98금양호의 조난 신호를 받았다. 어선이 침몰하면 수압 차에 의해 신호 장치가 자동 분리되며 해경 상황실에 조난 신호를 보내온다. 하지만 해경은 처음부터 98금양호의 연락처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 금양호 선주에게 연락처를 물어봤지만 선주는 짝을 이룬 97금양호의 전화번호를 98호 것으로 착각했다. 해경은 사고를 당하지 않은 97호에 “안전하냐”고 물었다. 97호는 “안전하다”고 응답했다. 해경은 그 말만 믿고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상황실에서 연락한 곳이 98호가 아니라 97호였다는 것을 발견한 건 15분 후. 해경 경
비과에서 일지를 정리하면서 전화번호를 바꾼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해경은 다시 98호에 연락을 했으나 연락이 되지 않았다. 97호 선장도 “98호가 연락도 안 되고 보이지도 않는다”고 전했다. 결국 해경은 오후 9시30분 구조를 지시했다. 조난 신호를 받은 지 1시간 만이었다.

이에 대해 해경은 “기상 상태가 파고 1~1.5m로 특별히 위험한 상황은 아니었고, 조난 신호 장치의 93%가 오작동한다”고 해명했다. 조난 신호가 들어와도 대부분 ‘별 이상이 없을 것’이라고 여긴다는 뜻이다.

해경 관계자도 “좀 더 치밀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 아쉽다”며 대응에 문제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현재 해경과 해군은 사고 해역 주변에서 시신이 추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선박 20여 척, 헬기 2대 등을 투입해 수색을 벌이고 있다.

98금양호가 침몰하자 천안함 수색 작업에 무리하게 민간의 쌍끌이어선을 동원해 피해를 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수색 중 사고가 난 게 아니라 조업하러 이동하다 침몰한 것이라 우리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사고 직후 해군은 선박 3척과 헬기 1대 등을 지원했다. 평소 민간 어선이 침몰하면 해군이 인양·구조 작업 등에 나서는 경우는 드물다.

해군에서 처음부터 무리한 수색작업을 펼쳤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쌍끌이어선이 동원될 때부터 백령도·대청도 주민들 사이에선 “위험하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왔다. 98금양호가 침몰한 지역도 천안함 수색작업이 아니었다면 평소 드나들 일이 없는 곳이다. 해경 측에서는 해군의 ‘쌍끌이어선 동원’ 발표가 난 직후부터 “우리는 통보만 받았을 뿐 어선들을 동원하려고 섭외한 건 아니다”는 입장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