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진주만' 열광… "강력한 미국" 외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미국 로키산맥 기슭 해발 2천m 고원도시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위치한 미 공군사관학교에는 미국의 태평양전쟁 참전기념물이 있다.

생도 강당인 아널드홀 1층 복도에 있는 유리함도 그 중의 하나다.

'Doolittle Tokyo Raiders(두리틀 도쿄 공습)' 라고 적힌 유리함 속에는 은잔 80개와 1896년산 코냑 술 한병이 보관돼 있다.

두리틀은 최근 개봉한 영화 '진주만(Pearl Harbor)' 에서 B-25폭격기로 일본 도쿄(東京)를 공격하는 작전팀의 대장(당시 중령) 이름.

미국은 1941년 12월 7일 진주만이 기습당하자 꺾인 미군의 사기를 올리기 위해 극비리에 도쿄 공습을 실시, 일본군의 간담을 서늘케 했다.

미 공사 브라이언 홉스 소령은 "이 은잔에는 그때 작전에 참가한 요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며 "2명의 생존자가 남았을 때 그들이 옛 동료들을 기리며 코냑을 마시기로 돼 있다" 고 말했다. 영화 '진주만' 은 지난달 말 미국에서 개봉과 동시에 선풍적 인기를 얻고 있다.

샌프란시스코대 패트릭 해처 교수는 " '진주만' 의 인기는 최근 보수화하고 있는 미 국민의 정서를 반영한 것" 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런 미국의 보수적인 바람은 부시 정부의 '강력한 미국' 이라는 신안보 정책과 맞물려 상승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박빙의 승리로 정권을 잡은 부시 정부는 국민의 신보수바람을 등에 업고 대북(對北) 강경 정책과 미사일방어(MD)의 정당성 확보를 노리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버클리대와 샌프란시스코대에서 30년간 동북아 문제를 연구한 해처 교수는 "미 국민은 진주만 기습에 대해 치를 떨고 있다" 면서 "이런 미 국민의 정서가 북한의 미사일.핵문제에도 적용되고 있다" 고 밝혔다.

그는 "특히 북한의 대포동미사일이 하와이나 알래스카를 겨냥하고, 북한이 핵폭탄용 플루토늄을 숨겨놓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면 캔자스주 등의 전형적 농촌 사람들조차도 격분한다" 고 미국의 분위기를 전했다. 미국의 보수화의 한가운데에 북한이 있다는 설명이다.

정권을 빼앗긴 민주당 및 민주당 성향의 싱크탱크들이 행정부에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한반도 화해.협력정책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미국의 대북정책을 추진하라" 고 강력 요구했음에도강경 대북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는 것은 미국의 보수화 때문이라는 게 그의 분석이다.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담당 보좌관이 17일 "미국은 러시아의 협조 여부에 관계없이 MD계획을 추진해 나갈 것" 이라고 각각 밝힌 것도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김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